웹툰보기
PDF다운로드
퀴즈
인쇄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배경

잠들기 전 전자기기 멀리하기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서 나오는 불빛은 숙면에 도움을 주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생산을 억제한다. 또한 전자기기에서 방출하는 청색광에 자극받은 뇌가 낮 시간으로 착각하기 십상이다. 만약 꼭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밝기를 최소로 줄이도록 하자.

각종 약물에 의존하지 않기
무분별한 약물 복용은 일시적으로 불면증을 없애주는 듯 보이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통해 처방받아야 하며, 처방받은 수면제라도 과도한 복용은 피한다. 특히 술과 함께 먹는 것은 금물이다.
41만 4천 명이 수면장애 환자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내용을 보면 수면장애로 인한 진료 인원이 지속해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35만 8천 명이던 진료실 인원이 3년 새 41만 4천 명으로 늘어 연평균 7.6% 증감률을 보였다. 특히 30대의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같은 기간 인구 10만 명당 30대 수면장애 환자 수의 연평균 증감률은 9.3%로 나타났다. 전체 진료환자 수 21만 4천 명 중 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59.5%. 30대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많다.
이처럼 여성의 수면장애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육아로 인한 스트레스, 직장여성 증가로 인한 스트레스 가중 등을 꼽는다. 육아에 대한 부담이나 걱정이 수면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주말에 밀린 잠을 몰아서 자는 습관이 수면 사이클을 망칠 위험도 크다는 의견이다. 또한 30대 직장여성의 경우 업무 스트레스, 대인관계에서 오는 갈등, 과다한 업무 등으로 인한 수면리듬 불균형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성별 수면장애 건강보험 진료 현황
3년 전체 평균 7.6%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