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2018.05
글자크기 글자 확대 글자 축소

도대체 알레르기가 뭐길래

알레르기 질환이란 외부 항원에 인체 면역체계가 과민하게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질병을 뜻한다. 우리의 일상을 괴롭히는 알레르기 질환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알레르기 질환 관련 통계를 인포그래픽으로 살펴보자.
글 박지영 기자 감수 오범조(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일반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특정 사람에게만 비염·천식·두드러기 등의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이 알레르기다. 알레르기성 질환은 한 번 생기면 쉽게 낫지 않는 만성질환이다. 평소 어떤 물질에 과민반응을 일으키고,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 물질을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는데, 종류는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꽃가루, 오리나무, 자작나무, 쑥, 복숭아 등으로 무척 다양하다. 때로는 심한 온도 변화나 과도한 압력, 정신적 스트레스도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12세 이하 연령대에서 알레르기 질환으로 가장 많이 의료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 발달이나 면역 체계가 미완성 상태인 아동・청소년 시기는 여러 가지 외부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변화가 많기 때문이다.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아이들은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순차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알레르기 행진’이라 부른다. 부모 중 한 쪽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아이가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은 약 50%이며, 부모 모두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확률은 약 75%로 증가한다. 알레르기 환자가 있는 집안에서 태어난 아이는 생후 10년간 알레르기 발병 위험도가 가장 높다.

Inforgraphics ❶

알레르기 비염 진료인원 4년간 가파르게 증가!
(2017.10.8. 국민건강보험공단 기준)

Inforgraphics ❷

'알레르기‘ 질환 연령대별 진료인원, 12세 이하 어린이 취약!
(2016.0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년~2015년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결과 기준

Inforgraphics ❸

알레르기 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Inforgraphics ❹

알레르기 환자가 가장 많은 계절은!
(2016.0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년~2015년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결과 기준)

모바일 건강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