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에게 물어봐

건강iN 매거진 8월호hi.nhis.or.kr

01. 성조숙증이란 무엇인가요?

여아의 경우 만8세 이전, 남아의 경우 만9세 이전에 사춘기가 시작되는 것으로 대개 여아는 가슴 발달을 첫 시작으로 하고 남아는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시작으로 사춘기 초반 증상이 나타납니다.

02. 성조숙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특정 질병에 의한 성조숙이 아니라면 흔히 말하는 진성 성조숙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작용으로 생각됩니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여자의 초경 연령도 어려졌으며 이 현상은 최근에도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의 변화가 분명히 초경 연령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초경이 빨랐던 경우 자녀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비만입니다. 성조숙 환자의 상당수가 비만한 경우로, 영양 과잉은 성조숙의 위험 요인입니다.

03. 성조숙증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여아의 경우 가슴이 발달합니다. 유두 아래쪽으로 멍울이 만져지거나, 유두의 모양이 성인 모습으로 변하거나 혹은 유륜의 색이 짙어지는 것이 첫 증상입니다. 남아의 경우 고환의 크기가 커지고 색이 짙어지고 주름이 많아지는 것이 첫 증상입니다.

04. 성조숙증과 함께 발병하는 질환들이 있나요?

합병증으로, 성조숙이 있는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최종 신장의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여아의 경우 10~12cm, 남아의 경우 15~20cm까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빠른 사춘기 발달은 성적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사회적 문제가 되는 부분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치료하지 않을 경우 유방암, 불임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05. 성조숙증을 진단하려면 어떤 검사를 시행해야 하나요?

혈액 검사를 통해 성호르몬 레벨을 측정하게 되며, 성장판 사진(X-ray)을 찍습니다.

06. 성조숙증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법으로는 4주에 1회, 혹은 12주에 1회 주사를 맞는 방법이 있으며 두 치료의 효과 차이는 없습니다.

07. 성조숙증의 위험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가능한 환경호르몬 노출을 줄이는 것으로 일회용기 사용 줄이기,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줄이기 등의 노력과 비만하지 않도록 바른 식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어머니가 초경이 빨랐던 경우라면 초등학교 저학년 때 적절한 감시를 통하여 사춘기 증상이 있는 경우 빨리 진료를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모바일 건강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