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단비대증 자가 점검표 | |
얼굴이 커지고 이마가 튀어나온다. | 자주 머리가 아프다. |
발이 커져서 구두 치수가 늘어난다. | 손발이 저리다. |
손가락이 굵어져서 반지가 맞지 않는다. | 무릎과 허리 등이 관절통으로 아프다. |
입술이 두꺼워지고 턱이 커진다. | 발기가 잘 되지 않는다. |
잠잘 때 코를 심하게 곤다. | 음성이 굵어진다. |
낮에 졸린다. | 시야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
전보다 땀이 더 많이 난다. | 당뇨병 또는 고혈압이 동반된다. |



성장호르몬 때문이야
얼마 전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8세 어린이가 언론에 공개됐다. 인도에 사는 이 주인공의 키는 198cm. 이유는 성장호르몬 과다일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너무 넘쳐도, 너무 부족해도 문제가 된다는 성장호르몬. 대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 걸까.성장호르몬이 필요한 이유
성장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주로 하는 일은 성장기 뼈 길이와 근육 증가 등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이다. 그러므로 성장호르몬이 적정량 분비가 되어야 어린이와 청소년기에 원활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성장호르몬은 대개 55세까지 우리 몸에서 형성되며 어른에게도 중요하다. 성인이 되어 25세가 넘은 뒤에는 인대, 콜라겐, 근력 등을 증가시키고 지방 분해를 촉진한다. 또 척추의 골밀도를 높여서 골다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골절의 위험도 줄여준다.

성장호르몬이 과도하게 나와서 키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자라는 병으로는 거인증과 말단비대증 두 가지가 있다.
거인증은 성장판이 닫히기 전인 사춘기에 걸리는 병으로 키가 2m 이상 자란다. 뼈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상대적으로 근육의 힘은 약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을 앓을 수도 있다..

성장판이 닫힌 성인이 된 후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말단 비대증(말단거대증)이 된다. 말단비대증은 뇌하수체에 종양 이 생기는 병이다.
갑자기 손, 발, 코, 턱 등 신체의 말단이 크고 굵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내부 장기도 커져 심장이 비대해지기도 한다. 심혈관계 이상으로 심장 비대 및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이 일어날 수 있고, 호흡기와 대사 장애로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장암 등 종양의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말단비대증은 증상이 매우 서서히 나타나므로 자신이나 주변 에서도 인지하기 어렵다.
말단비대증이 발생하는 평균연령은 40세 정도로 아래 증상 중 5가지 이상에 해당한다면 말단비대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거인증은 성장판이 닫히기 전인 사춘기에 걸리는 병으로 키가 2m 이상 자란다. 뼈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상대적으로 근육의 힘은 약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을 앓을 수도 있다..

성장판이 닫힌 성인이 된 후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말단 비대증(말단거대증)이 된다. 말단비대증은 뇌하수체에 종양 이 생기는 병이다.
갑자기 손, 발, 코, 턱 등 신체의 말단이 크고 굵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내부 장기도 커져 심장이 비대해지기도 한다. 심혈관계 이상으로 심장 비대 및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이 일어날 수 있고, 호흡기와 대사 장애로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장암 등 종양의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말단비대증은 증상이 매우 서서히 나타나므로 자신이나 주변 에서도 인지하기 어렵다.
말단비대증이 발생하는 평균연령은 40세 정도로 아래 증상 중 5가지 이상에 해당한다면 말단비대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말단비대증 자가 점검표 |
얼굴이 커지고 이마가 튀어나온다. |
자주 머리가 아프다. |
발이 커져서 구두 치수가 늘어난다. |
손발이 저리다. |
손가락이 굵어져서 반지가 맞지 않는다. |
무릎과 허리 등이 관절통으로 아프다. |
입술이 두꺼워지고 턱이 커진다. |
발기가 잘 되지 않는다. |
잠잘 때 코를 심하게 곤다. |
음성이 굵어진다. |
낮에 졸린다. |
시야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
전보다 땀이 더 많이 난다. |
당뇨병 또는 고혈압이 동반된다. |

● 저신장증
성장호르몬 결핍의 대표적인 증상은 성장 지연이나 저신장증이다. 보통 또래 100명 가운데 작은 순으로 3번째에 들면 저신장으로 볼 수 있다. 혹은 평균 신장보다 10cm 정도 작다면 저신장을 의심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작은 키지만 출생시점부터 보이지는 않고 유아기에 성장장애가 시작된다.
● 소아비만
성장호르몬의 역할 중에는 지방 분해가 있다. 그래서 성장호르몬이 부족할 경우 몸속의 지방이 축적되면서 복부 지방, 내장 지방이 증가해 소아비만이 오고 각종 성인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또한 소아비만은 성장판을 조기폐쇄 시키는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체지방률이 증가하면 성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고 2차 성징시기 역시 당겨지기 때문이다.
● 각종 노화 증상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게도 성장호르몬이 하는 역할은 크다.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성인은 노인에게 나타나는 노화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뼈 속의 골질량과 골밀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이 부족하면 골다공증과 골절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성장호르몬이 감소하면 기억력도 감소하고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 떨어진다. 우울증이나 성기능 감소, 불면증 등도 성장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생활에 무기력해지고 생기가 떨어지며 의욕이 줄어들게 되는 증상도 성장호르몬이 부족해서 나타날 수 있다.
성장호르몬 결핍의 대표적인 증상은 성장 지연이나 저신장증이다. 보통 또래 100명 가운데 작은 순으로 3번째에 들면 저신장으로 볼 수 있다. 혹은 평균 신장보다 10cm 정도 작다면 저신장을 의심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작은 키지만 출생시점부터 보이지는 않고 유아기에 성장장애가 시작된다.
● 소아비만
성장호르몬의 역할 중에는 지방 분해가 있다. 그래서 성장호르몬이 부족할 경우 몸속의 지방이 축적되면서 복부 지방, 내장 지방이 증가해 소아비만이 오고 각종 성인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또한 소아비만은 성장판을 조기폐쇄 시키는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체지방률이 증가하면 성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고 2차 성징시기 역시 당겨지기 때문이다.
● 각종 노화 증상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게도 성장호르몬이 하는 역할은 크다.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성인은 노인에게 나타나는 노화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뼈 속의 골질량과 골밀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이 부족하면 골다공증과 골절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성장호르몬이 감소하면 기억력도 감소하고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 떨어진다. 우울증이나 성기능 감소, 불면증 등도 성장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생활에 무기력해지고 생기가 떨어지며 의욕이 줄어들게 되는 증상도 성장호르몬이 부족해서 나타날 수 있다.
<출처_ 두산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희귀난치성질환센터, 말단비대증질환정보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