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도 건강인
  • 쾌활하고 당찬 아역 배우, 진지희
  • 건강인테마
  • 짭쪼롬 헬씨가족
  • 컴퓨터·스마트폰…스마트미디어에 중독되는 아이들
  • 3차흡연, 내 아이의 건강 해친다
  • 건강칼럼
  • 아이들의 정서장애와 행동장애
  • 임신부와 태아를 지키기 위한 임신성 당뇨병 자가관리법
  • 건강뉴스
  • 함께하는 시간, 건강해지는 시간,가족과 함께 걸어보세요.
  • 부모 피는 담배 아이들 동맥혈관 지속적으로 파괴
  • 십이지장염 방치하면 '궤양' 위험'
  • 여성탈모를 암시하는 구조 요청 신호
이전

테마칼럼

아이들의 정서장애와 행동장애

아이들의 정서나 행동은 생물학적인 요인, 발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아동 청소년기는 뇌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즐겁고 행복한 경험들은 아이의 뇌를 자극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시키고 뇌 발달을 촉진시킵니다. 이와 반대로 아이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수치가 높아지면서 '해마'라는 뇌의 구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해마는 뇌에서 학습·기억과 관련된 부위로, 이 부위가 손상된 아이들은 학습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감정 조절에 중요한 뇌의 구조가 잘 발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안감과 긴장감을 많이 느끼는 아이가 될 수도 있고,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아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부모의 양육 태도나 가정환경 또한 아이들의 정서와 행동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은 사회성 발달의 기초가 됩니다. 또한 부모의 사랑과 신뢰는 아이에게 든든한 지붕이 되어, 아이들은 마음껏 세상을 탐색하고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과도 같아,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며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그러나 아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부모의 눈높이에서 양육을 하는 경우, 부모가 거절적 태도를 보이거나 과잉보호적, 혹은 과잉 통제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에는 여러 문제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 자신이 우울이나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 아이들도 정서와 행동의 문제를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의 정서장애와 행동장애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