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발 저리고
화끈거리는 증상,
왜일까?
추운 겨울만 되면 나타나는 ‘손이 꽁꽁꽁, 발이 꽁꽁꽁’ 손발이 찬 증상의 원인을 차가운 겨울바람에서 찾기 쉽다 .
하지만 이런 증상이 겨울이 아닌 한 여름에도 나타나는 이들이 많다. 이는 말초신경병일 수 있다.
말초신경병의 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살펴보자
정리 박지영
감수 오범조(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요즘 같이 추운 겨울은 손발이 저리고 화끈거리는 증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겨울 뿐 아니라 여름에 도 손발이 저리거나 시리고 화끈거리는 증상으로 생활 속 불편함을 겪기도 한다. 손발이 저린 증상을 단순히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손발저림이 발생 하는 원인은 무척 다양하다. 혈액순환장애 보다 말초신경질환이나 척추질환, 뇌졸중, 심리적인 문제 등이 더 많다. 따라서 손발 저림은 유발요인을 먼저 찾아내 근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단순히 혈액순환 개선제 복 용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증상의 심한 정도, 발생 부위, 진행 경과, 동반 증상 등을 잘 살피고 적절 한 검사를 해야 한다.
저리고 시리고 화끈거린다면 ‘말초신경병
손발 저림은 손이나 발의 피부 밑에 존재하는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긴 말초신경병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당뇨를 오래 앓았다면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말초신경병’은 팔다리를 비롯해 몸 전체에 전선줄처럼 퍼져있는 말초 신경계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저림이나 통증이다. 여기에 화끈거림, 시리고 차가운 증상,
콕콕 쑤시는 느낌, 벌레가 기어가는 느낌, 피가 잘 안 통하는 느낌, 마취된 것과 같은 둔한
감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각 증상부터 나중에는 힘이 빠지는 근육
마비까지 올 수 있다.
말초신경병은 하나의 말초신경만 손상을 받는 단신경병, 여러 말초신경이 비슷한 정도로
손상되는 다발성 신경병으로 나뉜다. 단신경병은 주로 하나의 말초신경이 손끝과 발끝으로
가는 동안에 비정상적으로 눌리거나 외상을 입어 생긴다. 다발성 신경병의 원인은 여러
가지다. 대사성 질환, 약물이나 독성물질 중독, 영양결핍, 결체조직질환, 염증성 질환,
유전성 신경병 등이다. 그 외에 암과도 연관돼 나타나기도 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다.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로 확인한다
말초신경병은 병원을 방문해 진료와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예전에 없던 손발저림이
손·발바닥이나 손·발가락 끝에서부터 나타나서 점차 몸 쪽으로 올라오고, 보행 장애나
젓가락질 사용에 문제가 있다면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 유발전위검사 등을 통해
말초신경병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신경전도 검사는 말초신경의 전기적인 기능자체를 검사하며 어느 부위의 신경이
손상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근전도 검사는 근육을 바늘로 찌른 후에 전기신호를
분석하는 검사로 말초신경의 손상 정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말초신경병이
초기라면 검사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원인질환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원인 질환 치료가 중요하다
단신경병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발성 신경병은 원인 질환의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당뇨병이라면 혈당의 정확한 조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에는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약물이나 독성물질에 의해 생긴 경우는 그 원인 물질을
피해야 한다. 저리거나 화끈거리는 감각증상은 심한 경우에 일상생활이나 수면 활동을
방해한다. 이러한 증상에는 항우울제나 항경련제 등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