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관에 생긴 주름살 하지정맥류, 어떻게 예방할까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혈액이 고이는 질병이다. 정맥 내부에 있는 판막이 손상돼 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역류해 정맥이
늘어나면서 피부 밖으로 드러난다. 하지정맥류 예방을 위해 다음을 기억하자.
글 박지영 기자
감수 오범조(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평소 다리가 붓고 간지럽고 후끈거린다면
하지정맥류는 발과 다리의 정맥 압력이 높아져 판막 기능이 떨어지면서 정맥의 일부가 확장되는 질환이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거나 임신과 출산 등으로 정맥 혈관 벽이 약해지고,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래 서 있는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정맥 벽이 늘어나 피가 고이면서 혈관이 팽창하기에 혈관이 피부에 비치거나 튀어나오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눈으로 혈관이 보이면서 평소 다리가 자주 붓고 간지러움이나 후끈거림을 동반한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앉아 있거나 서있는 경우, 운동량이 부족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으면 발병할 확률이 높다.
최근에는 고령화까지 더해져 하지정맥류의 발병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겨울 필수템을 주의하라
레깅스나 스키니진, 발목이나 무릎까지 올라오는 부츠 등 겨울 패션 아이템은 여성의 건강, 특히
하지정맥류에 좋지 않다. 하체와 발을 조이는 옷과 신발은 몸의 혈액순환을 막기 때문에 하지정맥류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리에 피로감, 중압감 등이 빨리 발생하거나 정도가 더 심하며, 취침 시
근육경련이 잘 발생하고 다리에 부종이나 통증, 저림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누워서 다리를 올려놓으면 증상이 좋아지고, 아침보다 오후로 갈수록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 하지정맥류 예방을 위해 기억할 것 ]
하지정맥류 예방을 위해서는 몇 가지 새겨야 할 항목이 있다. 먼저 오랜 시간 부동자세를 취하면 종아리 근육의 수축, 이완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혈류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양반다리, 아빠다리 등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도 좋지 않다. 다리를 꼬면 혈관도 꼬이면서 혈류장애를 일으킨다. 비만이나 변비 등을 개선하자. 복압의 증가로 인해 혈류저하와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꽉 끼는 옷과 높은 굽 혹은 사이즈가 작은 신발 역시 혈류저하와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삼투압효과로 인해 부종을 일으키며, 부종이 고착화되면 하지정맥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종합적인 판단 아래 이루어지는 하지정맥류 수술
해당 질환이 나타났을 때 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수술이지만,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조금씩 달라지므로 알아두자. 치료법으로는 전통적인 외과적 발거술부터 레이저수술, 고주파수술, 경화주사치료 등이 있다. 이는 의료진이 환자의 나이, 성별, 직업과 생활습관, 또는 질환의 진행 정도나 병변의 위치까지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 아래 결정한다. 하지정맥류 수술의 목적은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해 다리에서 역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사타구니와 무릎 근처를 절개한 후 정맥류가 있는 정맥을 제거하는 발거술이 주로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바늘로 무릎 근처 혈관을 확보한 뒤 내시경과 같은 원리로 레이저나 고주파 수술 기구를 활용해 정맥을 제거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