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2018.07
글자크기 글자 확대 글자 축소

서민부담을 줄이고 형평을 높이기 위해
2018년 7월부터
건강보험료가 달라집니다

서민의 부담을 줄이고, 고소득자와 부담능력 있는 피부양자의 적정부담을 통해 합리적이고 공평한 ‘소득 중심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을 위한 의미있는 첫 걸음을 시작합니다. 각 분야 전문가 논의를 거쳐 국회 합의를 통해 최종 2단계(1단계 2018년 7월, 2단계 2022년 7월)의 개편내용이 확정되어 2018년 7월부터 건강보험료가 달라집니다.

[ 주요 개편 내용 ]

1. 연소득 500만원 이하인 지역가입자의 평가소득 보험료가 없어지고 대부분 지역가입자의 재산·자동차 보험료가 줄어듭니다.

2. 보수(월급) 외 소득이 많은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이 높아지나, 대부분의 직장가입자는 현재 보험료 부담수준이 유지됩니다.

3. 피부양자의 인정기준이 개편되어 소득·재산요건 기준이 강화되고 형제자매 원칙척 제외로 인정범위가 축소됩니다.




[ 지역보험료 ]

연소득 500만 원 이하인 지역가입자의 평가소득 보험료가 없어지고, 대부분 지역가입자의 재산·자동차 보험료가 줄어듭니다.

소득
성별·연령, 재산, 자동차 등으로 소득을 추정해 부과하는 평가소득 보험료가 없어지고 연소득 100만 원 이하 세대는 최저보험료 13,100원 납부
⇒ 현재 평가소득 보험료를 내고 있던 지역가입자가 평가소득 폐지로 보험료가 오르는 경우에는 인상분 전액을 감액하여 현행 보험료 수준 유지

재산
재산 공제제도 도입, 재산과표 5천만 원 이하 세대와 전월세 세대는 재산 수준에 따라 500만 원에서 1,200만 원 공제 후 보험료를 부과하여 재산보험료 부담 완화

자동차
생계형 자동차 보험료 면제 등 자동차보험료 부담 완화 • 배기량이 1,600cc 이하이면서 가액 4,000만 원 미만인 소형차, 사용연수 9년 이상 자동자, 생계형으로 볼 수 있는 승합차·화물차·특수차는 보험료 면제
• 배기량이 1,600cc 초과 3,000cc 이하이면서 4천만 원 미만인 중형차는 보험료 30% 감액


소득·재산이 상위 2-3%인 지역가업자의 보험료는 오릅니다
- 지역가입자 중 소득수준이 상위 2%, 재산수준이 상위 3%인 경우*는 보험료 점수 상향으로 보험료 인상, 보험료 부과의 형평성 제고
* 연소득 3,860만 원(필요경비율 90% 고려 시 총수입 연 3억 8,600만 원), 재산 과표 5억 9,700만원(시가 약 12억 원)초과하는 지역가입자


[ 직장보험료 ]

보수(월급)외 소득이 많은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부담이 높아지나, 대부분의 직장가입자는 현재 보험료 부담 수준이 유지됩니다
- 보수(월급) 외에 임대 · 이자 · 배당소득 등이 연간 3,4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직장가입자의 1% 이내) 보험료 추가 부담(현재 연간 7,200만 원 초과 시 보험료 추가 부담)
*연간보수(월급) 외 소득에서 3,400만 원을 공제한 후 보험료율(6.24%)을 곱한 금액
- 직장인 99%는 현행과 같이 보수(월급)에 대한 보험료 부담 유지


[ 공통사항(지역∙ 직장) ]

보험료의 상한과 하한액을 평균 보험료에 연동, 매년 자동 조정하여 경제 성장 등 여건 변화가 반영될 수 있게 됩니다
- (보험료 상한) 직장가입자의 보수보험료와 소득월액 보험료,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모두 2018년 본인부담분 기준 월 3,096,570원으로 조정(상위 0.02% 이내의 고소득층 적용)

연금·근로소득평가률상향 조정
- 연금·근로소득의 경우에는 30%의 평가율을 적용하여 보험료 부과(현재는 20% 적용)


[ 피부양자 인정 기준 ]

피부양자 인정기준 개편 배경 - 무임승차방지 및 형평성 제고
- 현재의 보험료 부과체계는 저소득 지역가입자의 부담이 큰 반면, 소득이 많은 피부양자는 보험료 부담 없이 무임승차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

피부양자 인정기준 개편 내용
- 소득 · 재산요건 기준 강화
- 형제자매 원칙적 제외로 인정범위 축소


[ 피부양자 소득요건 ]

- 이자·배당소득, 연금소득, 근로·기타소득 각각 연간 4,000만 원 이하에서 모든 소득을 합하여 연간 3,400만 원 이하로 변경 ※기혼자는 부부 모두 해당되어야 피부양자 인정
※과세소득 기준(다만, 연금 근로소득은 비과세 및 소득공제가 적용되지 않은 소득)


[ 피부양자 재산요건 ]

- 재산기준 원칙: 재산과표 9억 원 초과자, 재산과표 5억 4,000만 원을 초과하면서 연소득 1,000만원(과세소득 기준) 초과자 피부양자 제외
- 예외적 기준(형제자매): 재산과표 3억 원 초과자 제외 -> 재산과표 1억 8,000만 원 초과자 제외 ※소득요건과 달리 기혼자라도 개인별 재산요건으로 피부양자 인정



모바일 건강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