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벼이 여겨선 안 될 ‘변비’
1. 변비란 무엇인가요?
변비는 그 자체가 질환이라기보다는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씩 다른 다양한 증상들이 모두 ‘변비’라고 표현됩니다. 때문에 변비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의학적으로는 다음 증상들 중 2가지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 변비라고 합니다.1) 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줘야 하는 경우
2) 단단한 덩어리 변을 보는 경우
3) 배변 후에도 변이 다 배출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변감
4) 배변 시 항문에서 막혀서 잘 배출되지 않는 폐색감
5) 배변을 위해 손으로 변을 파내거나 배를 누르는 등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
6) 배변 횟수가 1주일에 2회 이하인 경우
2. 변비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식이나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의 악화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가족성 고지혈증과 같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경우도 있습니다.3. 변비와 함께 발병하는 질환들이 있나요?
변비 치료를 위해 완하제를 과도하게 복용하는 경우 대장 점막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표면이 어둡게 변하는 대장 흑피증이 발생합니다. 대장 흑피증 자체는 치료를 요하지 않으며 원인 약제를 끊으면 없어집니다. 심혈관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 변비로 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주게 되면 혈압 상승으로 인하여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심한 간경변 환자에서는 변비가 발생하면 암모니아 등의 독성 물질의 흡수가 많아지게 되어 간성 혼수 등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변비로 크고 단단한 변이 장 벽을 압박하고 자극하면 직장궤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질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4. 변비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변비를 유발하는 기저 질환이나 원인이 분명한 이차성 변비는 원인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원인이 분명치 않은 원발성 변비는 고 섬유 식이를 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규칙적인 배변 습관과 배변 자세를 유지하고, 긴장 이완과 복근력 강화를 위한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식생활 습관의 교정만으로 변비가 호전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를 하게 됩니다. 변비 치료를 위한 완하제에는 식이섬유 성분을 위주로 하는 부피형성 완하제, 수분을 끌고 나가는 삼투성 완하제, 장의 움직임을 증가시키는 자극성 완하제 등이 있습니다.5. 변비의 위험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통계적으로 보면 전 인구의 5~20%가 변비를 가지고 있다고 할 만큼 흔합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으며 고령에서 많습니다. 그리고 파킨슨병이나 중추신경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며, 강한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 변비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운동 부족, 수분 섭취 부족, 섬유질 섭취 부족 등이 변비의 위험인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6. 생활 속에서 변비를 예방하는 방법과 식습관은 무엇인가요?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규칙적인 배변 습관과 배변 자세를 유지하고, 긴장 이완과 복근력 강화를 위한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변비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변비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 아니라는 생각에 변비를 가볍게 여기고 스스로 건강식품이나 변비약만 복용하고 남용하다가 마지막에서야 병원을 찾아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 치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런 난치성 변비가 되기 전에 변비의 병태 생리를 잘 이해하고 원인을 찾아 교정하고 식생활습관을 교정한다면 불필요하고 심지어 해가 되기도 하는 잘못된 치료 로부터 탈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