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 속 건강iN
  • 건강iN DATE
  • 건강iN 테마1
  • 건강iN 테마2
  • 건강iN 소식
  • 테마칼럼
  • 고당칼럼
  • 건강iN카툰
  • 하루 한 번 운동
  • 건강iN 뉴스

고당칼럼

+

여성 고혈압의

치료의 모든 것

고당칼럼

본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다른 것이 여성과 남성이건만, 이 둘의 차이는 질병 앞에서도 확연히 다르다. 여성은 남성보다 치료의 적극성이 높고 본인의 병에 대한 인식이 높은데, 실제로 여성이 남성보다 고혈압에 대한 자각률이 10% 더 높고, 치료율은 20% 더 높다고 한다.

성별에 따른 혈압 차이와 고혈압 유병률 차이

초기 성인기(20~30대)에는 남성보다 여성의 수축기 혈압이 낮은 반면, 60대 이후가 되면 약간 높아진다. 이완기 혈압은 나이에 상관없이 여성이 약간 낮다. 고혈압의 유병률 또한 초기 성인기에는 남성보다 여성이 낮지만, 50대가 넘으면서 빠르게 발생률이 증가해 60대 이후가 되면 오히려 여성의 유병률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난다.

완경(폐경)과 혈압

나이나 비만도(BMI)와 관계없이 완경기의 여성이 가임기 여성보다 고혈압 발생 확률이 2배 정도 높다. 완경기 여성의 수축기 혈압은 완경 전보다 평균적으로 4~5㎜Hg 높은데, 완경에 따른 혈압 상승의 이유는 여성호르몬의 감소, 뇌하수체호르몬의 과잉, 체중 증가 등의 상호작용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당칼럼

완경 후 호르몬치료와 혈압

전반적으로 호르몬대체요법에 의한 혈압의 변화는 미미하므로 정상혈압 또는 고혈압이 있는 환자가 혈압 때문에 호르몬 사용을 피할 필요는 없다. 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여성 고혈압 환자는 초기에 혈압에 대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므로 1개월에 1회 정도 혈압을 관찰하고, 혈압이 안정된 후에도 6개월마다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

여성의 고혈압 치료제(항고혈압 약물) 선택

고혈압 치료제는 성별에 따라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은 이뇨제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이 잘 나타나고 남성은 통풍이 더 잘 발생한다. 저칼륨혈증 역시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또한, ACE억제제 1) 에 의한 기침이나, 칼슘차단제2)에 의한 말초부종도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경구피임약과 혈압

피임약을 복용하면 미세하게 혈압이 상승한다. 경구피임약에 의한 고혈압은 약제에 함유된 프로게스테론에 의한 것인데, 피임약 복용 중에는 정기적으로 혈압 측정을 해야 한다. 만일 경구피임약에 의한 고혈압이 의심된다면 다른 피임법으로 대체해야 하고, 다른 피임법이 적합하지 않은 여성은 고혈압 치료제(항고혈압 약물)를 병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고당칼럼

임신 중의 고혈압 치료

1기 고혈압3) 환자의 경우에는 임신기간에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낮고, 임신기간 중의 약물 복용이 태아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생활 습관의 변화를 통한 혈압 조절이 권장된다. 하지만 중증의 만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는 유산율이 50%에 이르고 모성사망률 또한 높으므로 임신 첫 3개월 동안의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수유 중의 고혈압 치료

엄마의 고혈압 치료제 복용은 모유 수유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모든 종류의 항고혈압 약물이 모유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1기 고혈압3) 여성은 고혈압 치료제 복용을 중단하여도 무방하며, 중증의 고혈압환자로 약물 복용 중단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안전한 대체 약물로 바꾸어야 한다. 특히 이뇨제는 모유의 양을 감소시켜 수유를 억제시키고, ACE억제제1) 는 태아와 신생아의 신장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금기이다.

고당칼럼

임신 고혈압의 재발

임신 중 고혈압이 발생했던 여성 중 20~30%에서 다음 임신 시에 고혈압이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는 이전 임신 당시 임신 초기에 고혈압이 발생하였거나, 만성 고혈압 병력을 가진 경우, 출산 후 5주 이상 고혈압이 지속된 경우 등이다.

1) ACE억제제
안지오텐신(고혈압을 유발하는 체내 합성물) 전환 효소(ACE,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의 작용을 억제해 혈압을 낮추는 약물

2) 칼슘차단제
칼슘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해 혈압을 낮추는 약물

3) 1기 고혈압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인 경우

고당칼럼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