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 속 건강iN
  • 건강iN DATE
  • 건강iN 테마1
  • 건강iN 테마2
  • 건강iN 소식
  • 테마칼럼
  • 고당칼럼
  • 건강iN카툰
  • 하루 한 번 운동
  • 건강iN 뉴스

건강iN Date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교수가 말하는

알코올 중독의 위험성과 치료법

세월이 흐르면 자연히 찾아오는 것들이 있다. 하얗게 세 버린 머리카락, 또 손이며 얼굴에 자글자글한 주름들. 이는 우리가 나이를 먹기 때문에 생기는 것들인데 눈이 침침해지는 증상도 그 중 하나다.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기에 그 위험을 자각하지 못하는 노인성 안구질환. 안과 전문의 박종운 교수에게 예방법과 치료법에 대해 들어보았다.

의사

적당히 마시면 약, 과하면 독이 되는 것, 바로 술이다. 세계보건기구가 190개국의 1인당 음주량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 15위로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연간 소주 60병을 마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술 마시는 수준은 이미 정도를 넘어선 상태다. 특히 과도한 음주에 따른 조기 사망과 생산성 감소 등 사회경제적비용이 연간 18.9조 원을 훌쩍 넘는 등 음주 폐해가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교수에게 알코올 중독의 위험성과 치료법에 대해 들어보았다.

Q. 알코올 ‘중독’은 어떤 상태를 말하나요?

알코올 중독의 의학적 명칭은 ‘알코올 사용에 의한 정신장애’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술을 마시면 안 된다는 걸 알면서도 마시고, 마시기 시작하면 조절이 되지 않아 멈출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같은 중독 상태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알고서도 조절이 되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야말로 알코올 중독은 질병입니다.

Q.우리나라 알코올 중독 환자의 현황은 어떤가요?

대체로 알코올 중독의 평생 유병률을 10% 안팎이라고 추정합니다. 즉,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알코올 중독에 걸릴 확률이 10% 안팎이라는 뜻입니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알코올 중독 진료 청구 현황’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 진료청구건수가 2010년 26만 6,202건에서 2011년 27만 8,794건, 2012년 32만 8,903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의사

Q. 알코올 중독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적, 행동적, 사회문화적 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알코올에 대해 사회적으로 관대하고 용인하는 폭이 넓다는 게 문제라고 봅니다. 외국의 경우, 밤 9시 이후에는 주류판매를 금한다든지, 주류 라이센스가 있는 공간에서만 판매하도록 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먹고 싶으면 언제 어디서든 술을 마실 수 있는 등 술에 대한 물리적인 접근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처럼 관대한 술 문화 때문에 알코올 중독을 질병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음주를 계속하다 심신과 삶이 황폐한 지경에 이르러서야 간신히 치료를 받는 실정입니다.

Q. 알코올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알려주세요.

술은 알코올을 분해하는 간뿐만 아니라 뇌, 심장, 신경에 이르기까지 인체의 모든 장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과도한 음주는 간에 손상을 가져와 지방간, 간염, 간경화를 초래할 수 있고, 식도나 위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남성의 성기능 약화, 여성의 생리에도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과 악성 종양 발생을 높여 결과적으로는 사망률까지 높입니다. 최종적으로 뇌의 퇴화를 촉진시켜 뇌졸중과 인지기능저하 등의 조기 치매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개인 건강에 대한 악영향뿐만 아니라, 음주로 인한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무려 18조 9천억 원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일본, 캐나다, 프랑스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음주로 인한 폐해가 개인의 건강을 해치는 범위를 넘어 사회경제적인 문제로 부상했다는 것을의미합니다.

의사

Q. 알코올 중독은 어떻게 치료할 수 있나요?

현재 우리나라에는 알코올 중독치료 전문병원이 일산병원을 비롯해 전국에 6곳이 있고, 지역마다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알코올을 비롯해 약물, 도박, 인터넷 등 4대 중독을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술을 끊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알코올은 습관성이 강하기 때문에 의지만으로 단주에 성공하기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코올에 대한 갈망과 습관성을 줄이기 위해 항갈망제, 음주억제제 등의 약물을 사용해 치료합니다. 대개 1년 정도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으면 완치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단주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 가족과 사회의 협력, 단주 유지를 위한 자조 활동이 모두 필요합니다.

Q. 알코올 중독을 치료할 때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술을 마시는 사람과 함께 생활하다 보면 눈높이가 달라지는 게 문제입니다. 즉, 술을 마시되 소란만 피우지 말라는 식으로 알코올 중독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는 겁니다. 술로 인해 생기는 문제의 기준을 사회적으로도 더 낮춰야 합니다. 사소한 것이라도 알코올 중독의 문제라고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Q. 마지막으로 당부하고 싶은 말씀은.

알코올 중독 선별검사인 CAGE 질문법과 알코올 의존도를 측정하는 AUDIT 질문법을 통해 알코올 중독 여부를 자가진단 할 수 있습니다. 중독 관리통합지원센터 홈페이지 등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으므로, 알코올 중독 의심 증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꼭 자가 진단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