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동 건이강이

퇴원환자의 안정적인 복귀와 지역사회 재정착을 돕는

요양병원 퇴원환자 지원제도

의료진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

요양병원 환자들 중에는 가정에서의 돌봄이 어렵거나 거동이 불편한 이유로 퇴원 후 삶을 걱정하거나 혹은 퇴원을 미루는 환자가 많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이러한 환자들이 걱정 없이 퇴원할 수 있도록 환자별 맞춤형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퇴원 후 안정적인 일상생활로의 재정착을 돕는 ‘요양병원 퇴원환자 지원제도’를 소개한다.

글. 이미리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병원 전문인력이 매칭해주는 효과적인 제도

요양병원에서 생활하다보면 퇴원 후 집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다. 건강관리는 물론, 집안 살림이나 경제활동 등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요양병원 내 환자지원팀이 환자에게 필요한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를 지원해주는 ‘요양병원 퇴원환자 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올해로 3년째를 맞는 이 제도는 요양병원에 상근하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및 기타 환자지원에 필요한 인력(약사, 영양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환자지원팀이 퇴원 후 돌봄이 필요한 환자와의 상담을 통해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해 도움을 준다.

심층상담으로 진행되는 지원 절차

요양병원 퇴원환자 지원제도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총 4단계 절차를 밟아야 한다. 1단계는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지원이 필요할 정도의 사회·경제적 욕구가 있는 환자를 선별한다. 2단계에는 환자 및 보호자와 상담을 통해 의료, 심리, 퇴원계획 등 퇴원 후 어려움에 대해 파악한다. 3단계는 환자와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를 위한 퇴원계획을 수립하며, 4단계에는 환자에게 필요한 지역사회 서비스를 연계해 퇴원 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한다. 대상은 입원 후 120일이 경과하고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가 필요한 퇴원 예정인 환자이며, 환자지원팀이 설치된 전국 요양병원이라면 어디서나 지원받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단 또는 보건복지부로 문의가 가능하다.

TIP. 퇴원환자 지원제도 참여기관 검색

• 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 건강iN → 검진기관/병원찾기
• 모바일 앱(The건강보험) → 전체메뉴 → 건강iN → 검진기관/병(의)원 찾기
문의 : 보건복지부 129,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우수 요양병원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환자의 퇴원을 돕는 의료진의 모습 이미지

공단은 지난 9월 19일 적극적인 지역사회 자원연계 활동을 통해 퇴원환자들에게 적합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사업 활성화와 제도 발전에 기여한 우수 요양병원 3곳을 선정해 이사장 감사패를 전달했다. 그중 우수 사례 3건을 소개한다.

사례1.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서비스 연계

00요양병원 환자지원팀은 집이 없는 환자 A씨에게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해 임대주택을 신청해주었다. 또한 치매 퇴원환자 B씨에게는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을 이용해 거주지 수리(화장실 개조, 낙상방지매트 시공, 문턱제거 공사, 도배 등) 서비스를 제공했다.

사례2. 1인 가구의 독립 및 안정적인 지역사회 복귀 지원

거주지가 없던 50대 C씨는 갑자기 쓰러져 병원 치료 후 00요양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00요양병원 환자지원팀은 안정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환자의 주소지 지자체와 연계해 케어안심주택 제공과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을 지원했고, 입원기간 동안 무료 간병 혜택과 병원 내 ‘공공의료협의체’를 통한 입원비 및 치과 의료비를 지원했다. 또한, 환자지원팀은 병원 직원들과 아나바다 행사를 실시해 생활용품, 옷, 가구 등을 모아 이사를 진행하고, 퇴원 후 방문간호 및 모니터링 실시를 지원했다.

사례3 퇴원 후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

70대 D씨는 고관절 전치환술 재활치료를 위해 입원한 후 병새가 호전돼 퇴원을 희망했지만, 독거환자로 일상생활에 상당한 도움이 필요했고 주보호자인 딸이 원거리에 거주하고 있어 돌봄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환자지원팀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밑반찬 지원, 세탁, 이·미용, 목욕 등 관련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연고지 근처의 장애인복지관을 연계해주어 D씨는 가족의 돌봄 부담에 대한 걱정 없이 퇴원했다.

지금 보는 페이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