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캠페인 2

코로나19 예방 필수템인 마스크 바로 알기 치명적인 ‘입스크‧턱스크’를
아시나요?

마스크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삶의 일부가 되었다. 코로나19를 막는 최고 예방이자 백신인 마스크는 제대로 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말 차단 효과가 뛰어나더라도 바르게 착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없다.

강보라

/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나에게 맞는 마스크가 최선이다

마스크를 선택할 때는 장시간 착용 여부, 비말 차단 효과, 호 흡 편리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비말 차단 숫자가 높을수록 좋다고 여기지만 KF94 이상 마스크는 유증상자나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유용한 것이다. 천식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 람에게는 산소 투과율이 떨어져 질환이 도리어 악화될 위험 이 있다. 그리고 차단 수치보다 중요한 것은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최대한 밀착해 착용하는 것이다. 이때 수건이나 휴 지를 덧대면 밀착력이 떨어져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용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위험천만 입스크, 턱스크

마스크 착용 의무화로 마스크를 쓰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변 칙 착용이 늘고 있다. 우리 주변에도 입은 가리고 코만 내놓 는 ‘입스크’와 턱에 걸치는 ‘턱스크’를 쉽게 볼 수 있다. 코스 크는 자신이 배출한 비말은 막을 수 있지만, 남이 배출한 비말 은 막지 못해 코를 통해 전염될 확률이 높다. 코는 감염의 첫 단계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할 때는 코까지 잘 덮어서 착 용해야 한다. 마스크를 턱에 걸친 뒤에 다시 착용하면 턱 피 부에 붙어 있던 바이러스균이 마스크 안쪽 면으로 들어와 숨 쉴 때마다 들이마실 수 있다. 밀폐된 마스크 안에서 호흡기 수분과 만나면 바이러스 번식을 증폭시키는 위험천만한 환 경이 된다.

마스크 바깥은 만지지 말자

마스크 표면에는 많은 오염 물질이 묻어 있다. 착용 이후 마 스크 바깥쪽을 만졌다가 습관적으로 눈을 비비거나 얼굴을 만지면 바이러스가 섞인 오염 물질이 눈‧코‧입 등으로 들어 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혹시라도 만졌을 때는 반드시 손 을 씻자. 덴탈 마스크는 안과 밖을 구분해 착용하는 것이 중 요한데, 밖에서 보았을 때 주름의 튀어나온 방향이 아래로 향하게 하면 된다. 외부 오염 물질이 고이지 않도록 주름이 아 래를 향하는 것이다. 최근 유행하는 마스크 목걸이 사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마스크를 줄에 걸어두면 안쪽 면이 노출돼 다른 사람의 비말이 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잠시 벗어야 할 경우에는 깨끗한 봉투에 넣어 보관한다.

한 번 쓴 뒤에는 버리는 게 원칙

마스크는 원칙적으로 1회 사용을 권고한다. 특히 밀폐‧밀 집‧밀접한 ‘3밀 시설’에 다녀왔다면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착용한 마스크를 버리고 반드시 새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오염 우려가 적은 곳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한 경우,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한 뒤 동일인에 한해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 헤어드라이어나 전자레인지로 건조하거나 알코올 소독, 세탁 등은 삼가야 한다. 이런 물리적 충격은 필터 성능을 떨 어뜨려 바이러스 차단 기능을 없애기 때문에 절대 하지 않도 록 주의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스크 착용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스크 착용 기준
종류 보건용 마스크(KF94) 보건용 마스크( KF80) 비말 차단용 마스크(KF-AD) 덴탈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장점 비말 차단 우수 비말 차단 우수 가볍고 숨 쉬기 편함 가볍고 숨 쉬기 편함
단점 답답하고 숨 쉬기 불편.
습기에 약함
답답하고 숨 쉬기 불편.
습기에 약함
비말 차단 보통 비말 차단 보통
적용
계층
코로나19 확진자, 호흡기 유증상자, 의료기관 종사자, 코로나19 고위험군 건강 취약계층(노인, 어린이, 임산부, 기저질환자) 무증상자, 코로나19 고위험군을 제외한 어린이나 성인 무증상자, 코로나19 고위험군을 제외한 어린이나 성인

* 24개월 미만의 유아, 주변의 도움 없이 스스로 마스크를 제거하기 어려운 사람, 마스크 착용 시 호흡하기 어려운 사람은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 기저질환 종류 만성 폐질환, 당뇨, 만성 신질환, 만성 간질환, 만성 심혈관질환, 혈액암, 항암 치료 암 환자, 면역억제제 복용 중인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