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예측한 정보로 질병 예방빅데이터에서 찾은
연령별 주의 질환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진료 인원과 진료비 정보로 특정 연령대에서 조심해야 할 질환을 알려준다.
최근 2년간 발표한 정보를 토대로 연령대별로 정리했다.

10대 이하 환자가 가장 많은 알레르기비염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에 발생한 알레르기비염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대 이하 환자가 뚜렷하게 많아 2018년 기준 266만여 명으로 3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感作)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한다.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피부염, 알레르기비염, 기관지천식)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진다. 또한 성인보다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과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증상이 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10대 이하에서 환자 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주요 증상
맑은 콧물, 발작적 재채기, 양쪽 코막힘, 눈과 코 주위의 가려움증 중 두 가지 이상이 하루 1시간 이상 나타나면 질환 의심
예방법
원인 항원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거나 줄여야 한다. 금연하고 간접흡연은 피하며, 미세먼지·황사·꽃가루 등이 심한 날엔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고, 외출 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착용한다. 집먼지진드기나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도록 실내를 청결히 하는 게 좋다.

알레르기비염 진료 인원 (2018년 기준)

차트에 공황장애 연령대별 백분율 표시
70대 5.2%, 60대 8.5%, 20대 9.7%, 50대 11.3%, 40대 12.5%, 80대 이상 1.9%, 10대 이하 37.8%, 30대 13.1%

2014~2018년 10만 명당 진료 인원 증감률

10대 14.5%, 20대 19%, 30대 20.8%, 40대 18.6%, 50대 이상 11.2%

연평균 증감률

10대 3.4%, 20대 4.4%, 30대 4.8%, 40대 4.4%, 50대 이상 2.7%

20~40대 환자 증가율이 높은 이석증

이석증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 있는 미세한 돌인 이석이 떨어져 나와 몸을 움직일 때마다 반고리관을 자극함으로써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2014~2018년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연도별 진료 인원은 2014년 30만 명에서 2018년 37만 명으로 5년 동안 연평균 4.8% 증가했다. 5년간 연령대별·성별 10만 명당 진료 인원을 보면 20~40대의 연평균 증감률은 4~5%대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 및 여가 활동이 다른 연령대보다 많은 편이라 두부외상으로 인한 이석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한다. 주요 증상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짧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빙빙 도는 회전성 어지럼증
예방법
두부외상 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머리의 물리적 충격을 주의해야 한다.

50대 이상 여성은 특히 이석증을 조심하세요

2018년 이석증 진료 인원을 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2.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50대의 10만 명당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전체 1321명 중 남성 807명에 비해 여성 1786명이었다. 여성 환자(특히 중·장년 여성)가 남성보다 많은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이석증 환자에게 골다공증이 많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중·장년 여성이 폐경기 후 호르몬 변화와 골밀도 감소로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령대별 공황장애 진료 인원 (2018년 기준)

차트에 공황장애 연령대별 백분율 표시
80대 이상 2.8%, 70대 7.0%, 60대 13.0%, 50대 20.7%, 40대 24.4%, 10대 이하 1.7%, 30대 18.5%, 20대 11.8%

40대 남녀 모두 조심해야 하는 공황장애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2018년 공황장애 진료 인원을 분석한 결과 40대(24.4%)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50대(20.7%), 30대(18.5%) 순으로 30~50대가 전체 환자(15만9000명)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공황장애는 죽음이 임박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공황장애 발병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 알코올 문제,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인 30~50대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주요 증상
갑작스럽게 심한 공포나 불편함이 수분 내 최고조에 이른다. 신체적 증상(빈맥, 심장의 두근거림, 호흡곤란, 발한 등) 및 정신적 증상(극심한 불안, 죽을 것 같은 두려움, 정신을 잃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이 나타난다.
예방법
스트레스 관리, 금연, 금주 등 위험 요인 피하거나 줄이기

50대 여성 가장 많이 진료받은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은 발바닥에 넓게 퍼져 있는 단단한 섬유성 결합조직 구조물로 걸어 다닐 때 발을 올려주고,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 족저근막염이다. 2018년 연령대별 전체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50대 환자(26.1%)가 가장 많았고, 40대(21.3%), 60대(15.8%), 30대(15.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여성이 4만 5000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으며, 40대 3만1000명, 60대 2만5000명 순으로 진료받은 것으로 나 타났다. 40~60대의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남성은 40대 환자가 2만3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30~50대는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40~ 60대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서 있는 시간이 길어진 것이 족저근막염 질환 발생을 증가시킨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족저근막염 진료 인원 (2018년 기준)

10대 이하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
남성 6,472 12,398 21,942 23,718 21,608 15,235 6,920 1,511
여성 4,933 11,470 18,112 31,186 45,709 25,624 9,436 1,655

주요 증상
족저부 통증, 특히 발뒤꿈치 부위의 찢어지는 듯한 통증
예방법
장시간 서 있거나 운동할 때 수시로 족저부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하고, 체중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발바닥 부위에 쿠션이 있는 편한 신발을 신도록 한다.

대상포진 연령대별 진료인원 (2018년 기준)

차트에 대상포진 연령대별 백분율 표시
30대 11.6%, 10대 2.7%, 20대 6%, 40대 15.7%, 50대 24.5%, 80대 이상 5.3%, 70대 12.5%, 60대 21.1%

50대 20·30대도 안심할 수 없는 대상포진

몸의 한 부위에 통증과 함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하는 대상포진 역시 50대 남녀 모두 진료 환자 수가 많았다. 2018년 대상포진 연령대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남녀 모두 50대(남성 21.8%, 여성 26.2%), 60대(남성 20.5%, 여성 21.5%), 40대(남성 16.3%, 여성 15.3%) 순으로 많았다. 5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원인이 확실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력이 저하되고, 암이나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 환자가 많아져 대상포진 환자도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20·30대 젊은 층의 대상포진 진료 인원도 전체 환자의 약 18%를 차지한다. 이는 대상포진에 대한 위험성이 널리 알려져 통증이 심하지 않아도 병원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면역력 저하를 일으키는 스트레스로 인해 대상포진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한다. 주요 증상
피부 병변이 나오기 수일 전부터 몸의 한 부위가 가렵거나 저리고 쏘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이후 띠 모양으로 발진이나 물집이 생기면서 딱지가 생긴다. 2~4주가 되면 흉터나 색소침착을 남기고 치유되나 통증은 점점 심해진다.
예방법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고 적당한 운동으로 체력 유지

50대 남녀 모두 많이 발생하는 하지정맥류

동맥을 통해 심장에서 몸 곳곳으로 공급되던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통로가 정맥이다. 하지정맥류란 피부 바로 밑으로 보이는 표재 정맥이 늘어나서 피부 밖으로 돌출되어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2018년 하지정맥류로 진료받은 전체 환자 수를 보면 여성 12만8174명, 남성 5만9450명으로 여성이 약 2.2배 많다. 이처럼 여성에게서 더 많이 보이는 이유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추정한다.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산보다 다산의 경우 빈도가 높다. 출산 후 대부분 소실되지만, 정맥 확장이 심할 경우 소실되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녀 모두 50대에서 진료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정맥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요인, 직업적 요인 등 여러 가지다. 오래 앉아 있거나 서서 일하는 직업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정맥의 탄력이 약화되면서 정맥류가 진행되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에 50대에 병원을 많이 찾는 것으로 보인다. 또 경제적 여건, 직장 문제, 활동 능력 등을 고려할 때 병원 접근성이 가장 용이한 연령층이라는 것도 한몫한다.

주요 증상
모두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외관상 하지정맥류가 없더라도 증상은 있을 수 있다. 증상으로는 하지 무게감, 부종, 가려움증,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 저림, 야간의 다리 근육 경련 등이 있다.
예방법
꽉 끼는 스키니 진이나 부츠 등의 착용과 오래 서 있는 자세,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오래 앉아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30분에 한 번 정도 움직여주는 게 도움이 된다.

하지정맥류 진료 인원 (2018년 기준)

10대 이하
남자: 0.7% , 여자: 0.4%
20대
남자: 6.4% , 여자: 6.3%
30대
남자: 11.3% , 여자: 12.3%
40대
남자: 16% , 여자: 21.1%
50대
남자: 24.3%, 여자: 29.6%
60대
남자: 24% , 여자: 20.3%
70대
남자: 13.7%, 여자: 8.3%
80대 이상
남자: 3.6% , 여자: 1.8%

60대 여성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경추간판장애(목디스크)

경추간판장애란 경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파열돼 경추신경이 자극 또는 압박을 받아 경항부(목), 경견부(목과 어깨), 견배부(어깨와 등), 상지(팔)에 통증과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2018년 목디스크의 연령대별·성별 진료 인원을 보면, 환자 수는 여성이 52만7986명으로 남성 43만921명보다 22.5%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전체 29.6%로 가장 많았고, 60대(21.8%), 40대(19.7%)가 뒤를 이었다. 10만 명당 진료 인원을 보면 60대 여성(3918명)이 가장 많았고, 50대 여성(3842명), 70대 여성(3533명) 순이었다. 5년간(2014~2018년) 목디스크 환자의 추이를 살펴보면, 80대 이상이 59.9%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50대 이후 연령대부터는 5년 동안 환자가 꾸준히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50세를 전후로 해 디스크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퇴행성 디스크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한다. 이에 머리와 몸통 사이 체중 부하의 분배를 원활하게 하지 못해 디스크의 탈출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평균수명 증가와 이에 따른 유병률 증가로 80대 이상에서 퇴행성으로 인한 목디스크 진료 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5년간 연령대별 목디스크 진료 인원 증가율 추이 (2014~2018년)

증가율 폭 ( 60%, 30%, 15%, 0.0%, -15%) 전체 10.1%, 10대 이하 -14.7%, 20대 4.7%, 30대 2.9%, 40대 -0.6%, 60대 27.4%, 50대 4.3%, 80대 이상 59.9%, 70대 18.1%

주요 증상
어깨와 팔이 저리면서 아픔, 손가락 저림, 어깻죽지 사이가 뻐근함 등
예방법
가능하면 낮고 말랑말랑한 베개를 사용하고, 독서를 하거나 책상에서 업무를 볼 때 시선이 너무 아래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2014~2018년 연령대별 건선 환자 수 연평균 증감률

전체 -0.2%, 9세 이하 -11.1%, 10대 -6.7%, 20대 0.6%, 30대 -2.1%, 40대 -1.1%, 50대 -0.5%, 60대 3.9%, 70대 1.7%, 80대 이상 8.8%

60대 이상부터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건선

건선은 경계가 분명한 은백색 인설로 덮인 홍반성 피부 병변이 특징으로, 주로 팔꿈치·무릎·엉덩이·두피 등 자극을 많이 받는 부위에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의 건선 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5년간 환자 수는 16만 명 선을 유지했다. 여성 환자는 감소세(-1.0%)를 보인 반면, 남성 환자는 증가세(0.4%)를 보인 것이 특징이다. 연령대별로 연평균 증감률을 살펴보면 60대 이상부터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20대를 제외한 50대 이하 연령층은 감소세를 보였다. 건선은 완치하기 어려운 질병으로, 나이가 들수록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요 증상
처음 발병하면 피부에 좁쌀 같은 붉은색을 띠는 발진이 생기고, 그 위에 하얀 피부 각질 세포가 덮인다. 발진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심한 경우 손바닥만 한 크기로 확대되기도 한다.
예방법
피부 자극이나 손상을 피하고,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다. 스트레스와 과로를 줄이고, 술·담배를 피하는 게 도움이 된다.

70대 남성이 특히 주의해야 하는 방광암

2018년 방광암의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70대 환자(1만2868명, 34.6%)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 60대(9935명, 26.7%), 80대 이상(7694명, 20.7%)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고령 인구 증가 및 검진의 발달로 고령층 방광암 진단율이 높아지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한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전체 환자의 81%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여성은 19%로 4.2배 차이를 보인다. 남녀 환자 수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암을 유발하는 물질에 대한 생리적 반응의 남녀 차이가 원인일 수 있다. 남성과 여성 빈도의 차이보다 암을 일찍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주요 증상
환자 대부분에서 혈뇨가 나타나고 드물게 빈뇨, 요절박, 배뇨통 같은 방광 자극 증상이 나타난다. 진행된 암의 경우 혈뇨 증상이 매우 심하고, 배뇨 증상이 흔히 동반된다. 전이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긴 하지만 주로 체중 감소와 통증을 호소한다.
예방법
충분한 수분 섭취, 금연, 정기적 건강검진, 혈뇨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비뇨의학과 내원해 검진받기

성별 진료 인원, 방광암은 남성(81.%)이 여성(19%)보다 4.2배 걸릴 확률이 높다.

방광암 진료 인원 (2018년 기준)

차트에 방광암 진료 인원 연령대별 백분율 표시
30대 1.0%, 10대 이하 0.1%, 20대 0.3%, 80대 이상 20.7%, 50대 12.7%, 40대 4.0%, 60대 26.7%, 70대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