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나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염성이나 독소형 질환입니다.
어떤 질환인가요?
대부분 세균이나 세균의 독소로 인해 발생합니다.
장염의 경우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원인은 무엇인가요?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 독소형 식중독
- 포도상구균,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클로스트리디움균(웰치균) 등과 같은 비침투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 감염형 식중독
- 병원성 대장균, 장염 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시겔라균 등과 같은 침투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 바이러스성 식중독(장염)
-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 식물성 식중독
- 야생 독버섯을 식용버섯으로 오인하여 섭취하거나 감자에 있는 솔라닌 독소를 섭취했을 때 발생합니다.
- 동물성 식중독
- 복어에 있는 테트로도톡신 독소와 유독화된 조개를 섭취했을 때 발생합니다.
- 곰팡이 식중독
- 농산물의 저장, 유통 중에 오염된 곰팡이에 의해 생성되며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제아레논 등이 있습니다.
- 인공화합물 식중독
- 수은,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음식물 섭취 후 7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 소화기 증상
- 구토, 설사
- 전신 증상
- 발열, 복통,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어떻게 진단하나요?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증상이 나타나면 발병을 의심하고, 세균 배양 검사, 역학조사 및 분변검사를 실시합니다.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치료 방법은 의사와 상담하여 각 개인의 상황과 증상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 체내 수분 보충
- 구토나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 손실을 보충합니다. 설탕물, 소금물, 이온음료가 도움을 줍니다.
- 수액 공급
-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합니다.
- 항생제 투여
- 혈변이나 발열이 심한 경우에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 지사제, 구토억제제 사용 억제
- 식중독 증상으로 인한 구토나 설사는 독을 배출하는 반응이므로 약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관련 비급여 항목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관련 항목 | 상세 |
|---|---|
| [4Z0E00007]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중 요양급여 결정 신청된 행위_대변 세균총 이식 | 상세 |
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