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iN 인터뷰

건강iN 매거진 11월호hi.nhis.or.kr

01. 근감소증은 어떤 질환입니까?

전체적으로 진행하는 골격근의 감소로 인해서 신체적 활동성의 저하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서 삶의 질이 저하되고, 궁극적으로 사망률의 증가에도 기여하는 병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02. 근감소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노화과정에서 성장호르몬 및 성호르몬의 감소, 신체활동 및 체지방량 감소로 인한 신진대사율의 저하, 체내 단백질 합성능력의 감소, 영양 결핍, 근골격계 및 호흡, 순환계, 면역계의 기능저하 등 다양한 이유가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03. 근감소증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근육의 절대적인 양이 줄고 기능이 줄어들면 근력 또한 약해지게 됩니다.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근력유지가 어려워지는 근 피로로 나타나는데, 특히 하지 근육의 약화와 함께 균형감각 등이 감소하면서 낙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04. 근감소증과 함께 발병하는 질환들이 있나요?

근감소증은 대사증후군(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 비만 등의 여러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상태)의 발생 위험을 상승시킵니다. 또한 지지역할을 해주는 주변 근육이 감소하면서 뼈가 버틸 수 있는 능력이 감소하게 되고, 낙상으로 인한 골절까지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05. 근감소증을 진단하려면 어떤 검사를 시행해야 하나요?

흔히 알고 있는 골밀도를 측정하는 기구인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사용해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성분분석기로도 사지 골격근량을 합산 하거나 전체 골격근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6. 근감소증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아직 근감소증 치료를 위해 처방할 수 있는 약제는 없습니다. 성호르몬, 성장호르몬, 골다공증 치료제 등 현재 개발 중인 약제로 연구를 진행 중이나 현재로서는 적절한 단백질 섭취 및 비타민D 섭취, 근력운동을 통해서 근육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07. 근감소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어느 연령이든 간에 근육을 사용하지 않으면 급격한 위축이 오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운동’입니다.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다리의 근력과 평형 기능을 키워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아령 및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손쉽게 할 수 있는 운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