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iN 인터뷰

건강iN 매거진 6월호hi.nhis.or.kr

01. 과호흡증후군은 어떤 질환입니까?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며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는 37~42mmHg 범위에서 그 농도가 유지된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과다한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동맥혈의 이산화탄소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져 호흡곤란, 어지럼증, 저림, 실신 등이 나타나는 상태를 과호흡증후군이라고 한다.

02. 과호흡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정신적 원인과 신체적 원인이 있다. 정신적으로는 과도한 불안이나 긴장,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신체적 원인으로는 폐렴, 폐색전증, 천식, 기흉 등 폐 자체의 질환,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이나 신장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는 대사성 산증 등이 있다. 이외에도 갑상선 항진증, 고열, 패혈증, 약제 부작용 등이 있다.

03. 과호흡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과호흡이 주요 증상이며 과호흡을 통해 몸의 과도한 알칼리화가 일어나 어지러움, 손발저림, 손발 꼬임, 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경련, 실신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가슴통증, 부정맥, 시각이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04. 과호흡증후군과 함께 발병하는 질환들이 있나요?

내과적 기저질환이 없는 경우 과호흡으로 인해 신체적 질환이 생기거나 사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과호흡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상황이 지속된 환자가 기저질환으로 심혈관계나 호흡기 질환이 있다면 매우 드물게 심장마비가 오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05. 과호흡증후군을 진단하려면 어떤 검사를 시행해야 하나요?

임상증상과 신체 검진,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호흡의 양상, 손발 감각과 저림, 경련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동맥혈 가스분석’이라는 혈액 검사를 하면 혈액 내 이산화탄소가 감소한 결과가 나와 알 수가 있다. 신체적인 질환의 유무, 최근의 불안증 등을 문진해야 한다.

06. 과호흡증후군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은 무엇인가요?

먼저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천천히 심호흡하여 몸 상태를 안정시켜야 한다.
만약 어려울 경우엔 입과 코에 종이봉투나 가방을 대고 호흡하여 체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흡수하여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정상화해야 한다.

07. 과호흡증후군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내과적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심호흡과 종이봉투 호흡법, 환자에게 심각한 질병이 아님을 알려 안심시켜주는 것만으로도 정신적으로 진정되면 사라진다.
하지만 폐 심장 질환 같은 내과적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기저질환을 치료하여야 한다.

08. 과호흡증후군의 위험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불안, 스트레스, 과도한 카페인 섭취, 폐심장 질환, 갑상선 항진증 등이 있다.

09. 과호흡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과도한 불안이 생기지 않도록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마음의 안정을 갖는 것으로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과도한 카페인은 과호흡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카페인이 든 음료를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