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방암은 국내 여성암 발생 중 2위를 차지한다. 갑상선암 다음으로 많은 비중이다. 흔히 선진국형 암으로 알려져 국내에서는 발생률이 비교적 낮았지만, 최근 식습관을 비롯한 라이프스타일이 서구화되며 유방암 발생도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젊은 연령대의 유방암 환자가 많은 편인데 미국이나 유럽 등의 전체 유방암 환자의 95%가 40대 이후라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20~40대 여성의 유방암 발생율이 전체 환자의 60%를 차지한다. 말 그대로 유방암이 젊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른 암에 비해 유방암이 위험하다고 하는 이유는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유방암은 사실 2기까지는 아무 증상이 없다. 혹시 자가 진단을 통해 가슴에 혹이나 멍울, 유두함몰, 염증 등의 증상을 발견했다 하더라도 이미 3기 이상으로 암이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유방암은 무엇보다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이 생존률과 직결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정 주기로 검진해서 유방암에 철저하게 예방하고 대비해야 한다. 또 생활패턴을 바꾸는 것도 큰 도움이 되는데, 최근 ‘직업환경보건국제아카이브’에 따르면 유방암 발병의 원인으로 ‘일주일리듬 교란’을 언급했다.
24시간 주기로 나타나는 생리적 패턴을 일주일리듬이라고 하는데, 이는 해가 뜨고 지는 외부환경 변화에 크게 의존한다. 때문에 잦은 야근이나 해외출장 등 시차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할수록 유방암에 노출될 확률이 높으며, 교대근무를 하는 여성의 경우도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한다.
물론 식생활도 한몫 한다. 동물성 지방은 에스트로겐 활성화를 돕는다. 에스트로겐이 유방암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증가하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데, 에스트로겐은 난소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만들어져 결국 고지방식을 많이 찾은 사람은 에스트로겐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 유방암에 걸릴 확률도 높다는 말이다.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매월 정기적인 유방 자가 진단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다. 자가 진단을 하기에 적절한 시기는 매달 생리가 끝나고 3~5일 후이며, 폐경한 여성은 일정한 날을 정해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혹시 모를 불상사를 예방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