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요법은 어떤 수술인가요?
경화요법에는 급여시술인 사지정맥류 경화요법과 비급여시술인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이 있습니다. 경화요법은 하지정맥이 발생한 혈관내부에 직접 치료 약제인 경화제를 주입하는 시술입니다.
경화요법 종류
사지정맥류 경화요법 |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 | |
---|---|---|
급여여부 | 급여 | 비급여 |
공통점 | 정맥류가 있는 부위에 경화제를 주사하여 정맥을 폐쇄시키는 치료법 | |
차이점 | 육안으로 보이는 모세혈관에 경화제 주사 | 초음파를 이용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 혈관에 경화제 주사 |
어떻게 진행되는 수술인가요?
도플러 혈관 초음파로 통증부위에서 정맥의 역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역류가 발생한 정맥에 초음파 유도하에 경화제를 주입합니다.
경화제 주입 후 주입 부위를 국소적으로 압박하고 다리에 압박 붕대를 적용합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인가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의료기술재평가
의료현장에서 사용 중인 의료기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근거를 검토하는 과정입니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은 깊은 곳에 위치한 정맥류나 기존의 방법(수술적 치료 혹은 정맥 내 열 치료)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정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판단하여 ‘조건부 권고함’으로 심의하였습니다.
권고함 | 조건부 권고함 | 권고하지 않음 | 불충분 | 권고등급 없음 |
---|---|---|---|---|
O |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가 충분하고,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대부분의 국내 임상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권고함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및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임상 상황이나 가치에 따라 평가대상의 임상적 유용성이 달라질 수 있어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조건하 혹은 제한적으로 권고함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및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대부분의 국내 임상 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권고하지 않음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 등에 대해 판단할 임상 연구가 부족하여 국내 임상 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에 대한 권고등급을 결정할 수 없음 | 권고등급 체계 마련 이전 평가건이거나 평가방법 및 목적에 따라 권고등급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음 |
평가 결과 요약
심각한 합병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드물었고, 그 외 합병증은 중재(수술, 열 치료, 최소침습적 치료)의 특성에 따라 예상 가능한 합병증으로,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은 비수술적 형태의 적극적 치료법으로 안전한 의료기술로 판단하였다.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의 폐쇄율은 수술적 치료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맥 내 열 치료인 고주파 치료 또는 레이저 치료와 효과가 유사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판단하였다.
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