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식 노트

겨울 바람에 눈물이 뚝

안구건조증을 잡아라!

건조한 눈에 인공 눈물을 넣고 있는 사람의 모습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겨울철 많이 발생한다. 초기에는 쉽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내버려두면 각막염 등의 합병증으로 시력장애를 가져올 수 있는 질환이다. 겨울철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 할 생활습관과 안구건조증 발생 시 알맞은 치료법을 소개한다.

글. 이미리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겨울 불청객, 안구건조증이 온다

겨울철 찬바람이 불면 안구건조증 증상을 호소하며 안과를 찾는 사람이 많아진다. 안구건조증은 흔하게 발생하는 대표적 눈물질환이다. 눈물이 부족하거나 불안정한 눈물막으로 인해 눈물이 많이 증발하면서 눈 표면이 손상돼 여러 증상을 발생시킨다. 눈물은 우리 눈의 윤활유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여러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안구건조증은 오전보다 오후에, 실내보다는 건조한 실외에서 바람을 쐬면 더 심해진다.

날씨 변화 외에도 류마티스관절염, 만성결막염, 안검염, 각종 피부질환, 안면신경마비 등 결막의 만성염증이나 화학적·열적·방사선적 손상이 있는 경우 안구건조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또한 만성질환으로 장기간 약 복용, 녹내장이나 기타 다른 눈질환으로 전문의 상의 없이 점안약을 장기간 사용한 경우, 라식수술, 여성호르몬 감소, 만성피로,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에 의한 호르몬 변화 등 다양한 이유로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눈 건강 위협하는 디지털 기기 내려놓아요

안구건조증이 생기면 대부분 눈이 마르고 뻑뻑하거나 침침함, 자극감, 이물감, 작열감, 가려움 등을 호소하며 실 같은 점액성 물질이 분비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눈이 따갑고 시린 통증과 충혈로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컴퓨터,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해도 생길 수 있다. 안구에 눈물을 골고루 펴주는 눈꺼풀의 움직임, 즉 눈 깜빡임이 잦지 않아 안구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근거리 시각작업을 장시간 지속할 경우 눈근육(모양체)의 긴장과 피로도가 높아져 조절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1분에 10~12회 정도 눈 깜빡임을 해야 하는데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면 횟수가 3~5회 정도로 감소하는 것이다. 다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는 의식적으로 50분 작업 후 10분씩 눈을 감거나 먼 곳을 주시하며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적극적 대처와 예방 필요

초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대부분 눈물 기능을 대신하는 인공누액을 사용한다. 좀 더 심해지면 안연고를 함께 사용하고 심한 건성안이거나 인공누액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눈물이 배출되는 구멍인 누점을 막는 수술(누점폐쇄술)을 시행한다. 특히 안구건조증은 만성질환이기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서는 실내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루 3회 이상 환기하고, 렌즈의 장시간 착용을 피하며, 컴퓨터 등 전자기기 사용시간을 줄여야 한다. 책은 35~40cm, TV는 2.5m 거리를 유지해 보는 것이 좋다.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눈꺼풀염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온찜질 후 눈꺼풀 세정을 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가습기를 이용해 실내 습도 60%를 유지하고 히터, 에어컨 등 냉난방기 바람을 얼굴에 직접 쐬지 않게 주의한다. 눈에 자극을 주는 헤어드라이기나 담배연기도 피해야 한다.

비타민 A 결핍으로도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평소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카로틴이 많이 함유된 당근이나, 칼륨이 풍부해 결막염 등의 눈병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바나나, 블루베리 등을 섭취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안구건조증 체크리스트

  •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있다.

  •  눈꺼풀이 무겁고 머리까지 아픈 것 같다.

  •  눈이 자주 출혈된다.

  •  잘 쓰던 콘택트렌즈에 문제가 발생한다.

  •  자고 나면 눈꺼풀이 들러붙어 잘 떠지지 않는다.

  •  건조한 곳이나 오염이 심한 곳에서 가끔 눈이 화끈거린다.

  •  장시간 독서, 컴퓨터 작업이 어려워진다.

  •  빛에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지고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  눈이 쏟아지는(빠지는) 느낌이 든다.

  •  눈부심이 있으면서 눈이 자꾸 감긴다.

* 2~3개 이상 해당되면 안구건조증이 의심되므로 병원을 찾아 알맞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출처 질병관리청

지금 보는 페이지를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