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 개선

지역사회 통합 돌봄 활성화 위해 국내 최초!
공단, 의료기관·지자체 잇는
정보 연계 시스템 구축

요양병원 퇴원 환자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국내 최초로 공단이 의료기관과 지자체를 잇는 정보 연계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요양병원 환자지원팀이 직접 지역사회 서비스 기관을 찾아야 했던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강은진

/

사진 이우성

/

촬영 협조 미소들 병원

요양병원과 지자체에 업무 편의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요양병원에서 퇴원이 예정된 환자의 안정적 지역사회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요양병원과 지자체 간 자원(서비스)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 통합 돌봄 선도 사업 지역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통합 돌봄은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등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 정책이다. 또 자원 연계 시스템이란 요양병원 환자지원팀이 퇴원 계획을 지자체에 의뢰하고, 지자체는 알맞은 서비스를 찾아 회신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요양병원이 일일이 해당 지자체에 전화나 팩스 등을 이용해 찾는 방식이어서 업무 처리 시간이 상당했다. 공단 보장지원실 이은영 실장은 “정보 연계 시스템을 통해 요양병원과 지자체에 업무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통합 돌봄 사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한다.

시스템 통해 환자와 보호자 수고까지 덜어

요양병원 퇴원 환자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는 지난해 11월에 시작됐다. 지역사회 서비스가 필요한 요양병원 퇴원 예정 환자가 지원 대상이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 요양병원 내 환자지원팀이 지역사회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같은 업무 편의 시스템이 제공될 경우 요양병원의 많은 참여가 예상된다. 요양병원 퇴원 환자에게 제공되는 지역사회 자원 연계 서비스는 일자리부터 일상생활, 보호 및 돌봄, 요양 등 분야가 제법 다양하다.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미소들 병원 윤영복 이사장은 “지역사회의 통합 돌봄 창구나 정신건강센터, 치매안심센터, 장애인복지관 등 지역사회 서비스를 퇴원 예정인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복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왔다”면서, “시스템 구축 전에는 환자나 보호자 스스로 지역사회 서비스 시설을 찾아내야 했는데, 구축 후에는 요양병원 환자지원팀이 활용 가능한 시설을 찾아 연계해주기 때문에 환자나 보호자의 수고가 한층 줄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주요 서비스
주거
정신건강 및 심리정서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
일자리
안전 및 권익 보장
보호 및 돌봄요양
일상생활
통합 돌봄 활성화 기대

현재는 주민등록 주소지가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 사업 지역(경남 김해, 전북 전주, 충남 천안, 광주 서구, 충북 진천, 경기 남양주, 경기 부천, 경기 안산, 경기 화성, 대구 남구, 부산 부산진구, 부산 북구, 전남 순천, 제주 서귀포시, 제주 제주시, 충남 청양 등 16개 지역)에 해당하는 환자만 대상이나, 선도 사업 지역 확대에 따라 서비스 연계 대상자도 늘어날 예정이다. 공단 강청희 급여상임이사는 “가정에서 돌봄이 어려워 장기 입원을 할 수밖에 없는 노인의 지역사회 복귀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통합 돌봄 활성화를 통해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