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뉴스

건강iN 매거진 6월호hi.nhis.or.kr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건강보장 확대, 건강검진 질 관리, 만성질환 관리 등 체계적인 관리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보험급여의 적정성 평가, 보험재정 전망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EDI 시스템

시스템 자료연계 체계
공단과 요양기관 사이의 청구시스템은 99.9% 전산화 되어 있습니다. 요양기관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간의 EDI 청구시스템은 1996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사업장과 국민건강보험 간의 EDI 시스템도 1997년부터 사용되어, 현재 90% 이상의 사업장이 국민건강보험 EDI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DW 시스템

국민건강보험 DW 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쉽게 통계표를 추출할 수 있으며, 건강보장 확대, 보험급여 적정성 평가, 보험재정 전망, 건강검진 질 관리 및 만성질환 관리 등 업무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 DW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 서비스에 대한 통계연보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정보DB

국민건강보험DB(NHD)는 체계적인 연구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전 국민 코호트 형태로 구축한 DB입니다.

※ 국민건강보험DB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는 식별 불가능한 개별 ID 연계를 통해 종합 구축되어 있습니다.

빅데이터 향후 계획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국민건강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다양한 자원과 데이터를 융합해 의미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자료, 의료영상 자료, 환경·오염 자료 및 공간정보를 융합할 수 있는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국민건강보험은 5천만 전 국민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기관으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흩어져 있는 개인의 건강정보를 통합한 건강정보 생산의 전진 기지, 즉 헬스 백본(Health Backbone)이 될 것이며, 보건의료 분야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는 데 기반이 되어줄 것입니다.

더 나아가 데이터의 생성·관리·유통·활용의 선순환 체계를만들고 건강보험의 핵심가치를 이끄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