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해요
더위에 장마까지!
주방을 지켜라
숨이 턱턱 막히는 무더위와 기분까지 꿉꿉하게 만드는 장마.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세균이 증식하기 쉬워 흔히 식중독이라고 하는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 가족의 먹을거리를 다루는 주방의 위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름철 감염병 예방을 위해 주방에서 지켜야 할 위생수칙을 알아보자.
*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병원성 미생물 또는 독성 물질에 오염된 물, 식품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구토‧복통‧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이 있다.
아이콘 세척한 채소류는 실온 보관 삼가야
채소류는 식초에 5분 이상 담가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씻고, 가급적 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무더운 여름철에 식재료를 실온에 보관하면 세균이 증식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척 후 바로 섭취하거나 조리하는 것이 어렵다면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아이콘 음식은 완전히 익혀 먹어야
육류나 어류, 냉동식품은 완전히 익혀서 먹고, 물은 끓인 뒤 식혀서 마시는 것이 좋다. 조리된 음식은 되도록 빨리 섭취해 실온에서 1~2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 냉장 보관하여 식중독을 예방한다.
아이콘 냉장고 위치별 온도를 고려해 식품 보관을
식품을 냉장고에 넣을 때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재료별로 밀폐 용기나 비닐팩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한다. 이때 냉장고 위치별 온도를 고려하여 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냉동실 안쪽이 온도가 가장 낮고 냉동실 문 쪽, 냉장실 안쪽, 냉장실 채소칸, 냉장실 문 쪽의 순이므로, 오래 보관하거나 온도 변화에 민감한 식품은 냉동실과 냉장실 안쪽에 보관한다.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냉장고에 보관했어도 상태가 나쁘면 과감히 폐기한다. 또 미생물 증식의 위험이 높으므로, 한번 해동한 식품은 다시 냉동하지 않는다.
아이콘 전자레인지 찌든 때는 베이킹 소다로
전자레인지는 베이킹 소다와 물을 1:1 비율로 넣고 5~10분 정도 돌린 다음, 불어난 찌든 때를 스펀지나 행주 등으로 닦아낸다. 귤껍질을 잘라 1~3분 정도 전자레인지를 돌리면 냄새도 말끔히 사라진다. 가스레인지 주변에 눌러 붙은 기름때는 맥주를 마른행주에 적셔 닦거나 소주를 분무기에 담아 뿌리면 말끔히 제거된다.
아이콘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사용해야
식재료 간의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칼과 도마가 하나뿐이라면 채소류부터 시작해 육류, 어류, 가금류 순으로 사용하고, 식재료가 바뀔 때마다 세척해 준다. 칼질로 생긴 도마의 흠집에는 세균이 증식하기 쉬우므로, 도마를 사용한 후에는 즉시 흐르는 물에 세제로 깨끗이 세척하고, 뜨거운 물로 헹군 뒤 햇볕에서 건조한다.
아이콘 행주는 10분 이상 삶아 써야
수도꼭지나 싱크대에 널어둔 젖은 행주는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다. 사용한 행주는 끓는 물에 10분 이상 삶아 햇볕에 바짝 말린 뒤 사용한다. 행주를 물에 담가 전자레인지에 8분 이상 돌리면 삶은 것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무더운 여름철에는 매번 행주를 삶는 것도 일이므로, 일회용 행주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아이콘 식초와 베이킹 소다로 배수구 소독과 악취 제거를
싱크대 배수구는 음식물 찌꺼기, 기름때 등으로 각종 세균이 증식하기 쉽다. 음식물 찌꺼기를 자주 비우고, 솔로 거름망 사이사이의 찌꺼기를 깨끗이 닦는다. 배수구에 베이킹 소다를 2~3숟가락 정도 넣고 식초를 부으면 거품이 생기는데, 10분 정도 놔둔 뒤 흐르는 물로 헹구면 배수구 소독은 물론, 배수구에서 올라오는 퀴퀴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 식품 안전 뉴스 2020년 8월 19일, 메디컬 투데이 2017년 8월 1일,
헬스조선 2020년 8월 26일, 2021년 2월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전자레인지 청소, 베이킹 소다에 맡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