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해요
장난감에 발암물질이 있으면 어쩌죠?
‘장난감‧학용품에서 발암물질 검출돼’, ‘에어프라이어, 발암물질 유발한다’ 같은 뉴스를 접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때마다 무엇보다 안전해야 할 제품에서 왜 발암물질이 검출되는지 화도 나고
내가 사용하는 제품도 혹시나 그런 건 아닌지 싶어서 불안해진다.
장난감, 학용품, 가전제품 등을 안전하게 고르고 사용하는 요령을 알아보자.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 특히 단단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화학첨가제(가소제)로, 아이들이 많이 가지고 노는 플라스틱 장난감을 만들 때 사용된다. 장기간 노출될 경우 내분비계에 장애를 일으켜 생식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장난감에 칠해진 페인트 등의 안료(착색제)에 납이나 납 화합물이 들어 있는 경우도 많다. 발암물질인 납은 어린이의 지능 발달을 저해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지장난감, 안전하게 고르고 사용하려면
· KC(Korea Certification)마크 꼭 확인하기 : 장난감을 살 때는 안전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는 표시인 KC마크가 있는지 꼭 확인한다. 장난감을 구입한 후에 인증 정보나 리콜 정보가 궁금하다면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서 모델명을 검색해보면 된다.
· 재질 살펴보기 : 가소제가 섞이지 않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장난감을 선택하거나 비교적 무해하다고 알려진 ABS 재질의 장난감을 구매한다.
· 경고 표시 확인하기 :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용출될 수 있으니 입에 넣지 말 것'과 같은 경고 표시를 잘 지키고, 장난감을 가지고 논 다음에는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는다.
이미지
반짝거리는 재질의 책가방이나 필통, 말랑말랑한 지우개 등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향기 나는 연필 등의 학용품에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화려한 색깔의 학용품이나 크레파스, 물감 등에 사용되는 안료에는 납, 카드뮴, 크롬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경우가 많다.
이미지학용품, 안전하게 고르고 사용하려면
· 유해물질 방출하기 : 학용품도 마찬가지로 안전이 확인된 KC마크가 있는 제품을 구매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2~3일 정도 두어 유해물질이 방출되도록 한다.
· 천연 소재로 만든 학용품 사용하기 : 지우개는 천연고무 제품을 구매한다. 가소제가 함유된 플라스틱보다는 섬유 소재의 필통, 플라스틱 대신 종이나 패브릭 소재로 된 파일을 사용한다.
이미지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강한 세기의 전자파가 발생할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요즘 가전제품은 전자파에 대한 인체 보호 기준을 적용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전자파가 건강을 위협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오랜 시간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에는 두통, 기억력 감퇴, 수면장애 등이 생기거나 뇌종양 같은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지가전제품,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 사용 후 전원 플러그 뽑기 : 전원 플러그를 뽑아 두면 전류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전자파를 줄일 수 있다.
· 30cm 이상 떨어져 사용하기 : 작동 중 일시적으로 전자파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30cm 이상 거리를 유지한다. 그러면 밀착했을 때보다 1/10 정도로 전자파가 줄어든다.
· 에어프라이어는 고온에서 오래 조리하지 않기 : 에어프라이어로 고탄수화물 식품을 고온에서 장시간 조리할 경우, 발암 추정 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이 증가하므로 주의한다.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내 아이의 플라스틱 장난감,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있나요?’, 환경부 보도자료 ‘유해물질 걱정? 신학기 착한 학용품 이렇게 선택하세요’,
헬스경향 2020년 7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