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세 만만세
노안이 의심되나요?
전과 달리 사물이나 글씨가 흐릿하게 보이는 것 같고 스마트폰을 볼 때
멀찌감치 두고서 보는 게 잘 보인다면 노안을 의심해봐야 한다.
인간의 노화 현상은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노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신체기관을 꼽으라면 눈이라 할 수 있다.
노안 발병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노안이란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모양체라 불리는 근육 기능이 약해져 조절력이 떨어지는 안질환을 말한다.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초점을 바꾸는 게 어려워지면서 가까이 있는 글씨를 보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눈이 피로하고 심하게는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노안이 오는 시기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여자는 40세 전후, 남자는 50세 전후에 나타나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요즘은 스마트폰의 잦은 이용 등으로 인해 30~40대에도 노안이 시작되는 등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다.
나도 혹시 노안일까
아래의 여섯 가지 항목 가운데 3개 이상이 나에게 해당된다면 노안을 의심해볼만 하다.
이미지
<노안 자가진단>

휴대폰 문자메시지가 흐릿하게 보인다.

신문, 책 등을 읽을 때 점점 멀리서 읽게 된다.

가까운 곳을 보고 작업할 때 눈을 찡그리거나 비비게 된다.

책을 읽을 때 시간이 갈수록 글씨가 흐릿하게 보이고 머리가 아프다.

주위가 어둡거나 몸이 피곤할 때 시력이 뚜렷하게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원거리와 근거리를 볼 때 초점을 전환하는 속도가 늦어진다.

노안이 의심된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기대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만큼 눈 관리는 더욱 중요해졌지만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사람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노안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생각해 방치하는 것이다.
노안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40세부터는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같은 노인성 안질환도 발병이 쉬워진다. 백내장은 특히나 증상이 노안과 유사하고 녹내장과 황반변성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중요한 이유다. 또한 노안으로 나빠진 시력을 안경 착용 등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안과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노안 늦추고 눈 건강 관리하기
노안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눈 관리를 꾸준히 한다면 발병과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을 위해 외출할 때는 선글라스나 모자를 착용하고, 모니터를 볼 땐 적절한 거리를 두어서 보며, 어두운 곳에서는 휴대폰을 보지 않는 것이 좋다. 너무 오랜 시간 컴퓨터 작업이나 휴대폰 사용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담배를 멀리하고 눈에 좋은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도 좋다.
이미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네이버포스트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노안 의심해봐야’,
연합뉴스 2020년 10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