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트렌드
킥보드 타는 우리아이,
안전모는 썼나요?
코로나19로 인해 가족이 집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다.
안전사고는 집안보다 집밖에서 더 많이 일어날 거라 생각하는 사람이 있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이다. 언제 어디서든 방심을 하는 순간,
아찔한 사고에 직면할 수 있으며 아이의 경우에는 더욱 위험하다.
늘고 있는 가정 내 안전사고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접수된 안전 관련 신고 가운데 가정(주택)에서 발생한 사고는 2017년 33,806건(47.6%), 2018년 38,141건(53.0%), 2019년 40,525건(55.5%)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이란,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3년간 상위 5개 안전사고 장소별 현황
(단위: 건, (%))
순위 2017년 2018년 2019년
1 주택 33,806(47.6) 주택 38,141(53.0) 주택 40,525(55.5)
2 도로·인도 6,549(9.2) 도로·인도 13,870(19.3) 도로·인도 5,007(6.9)
3 숙박·음식점 5,093(7.2) 숙박·음식점 5,963(8.3) 숙박·음식점 4,813(6.6)
4 여가, 문화, 놀이시설 2,110(3.0) 여가, 문화, 놀이시설 5,012(7.0) 여가, 문화, 놀이시설 2,160(3.0)
5 기타 상업시설 1,806(2.5) 교육시설 2,019(2.8) 교육시설 1,820(2.5)
또한 가정 내에서 일어난 사고 가운데 연령 확인이 가능한 안전사고를 분석해보니, 10세 미만 어린이가 전체의 40%를 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세 미만’이 2017년에는 16,687건(50.2%)이나 되었고, 2018년 15,518건(42.9%), 2019년 15,838건(40.9%)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이 발생했다.
최근 3년간 연령대별 가정 내 안전사고 현황
(단위: 건, (%))
연령대 2017년 2018년 2019년
10세 미만 16,687(50.2) 15,518(42.9) 15,838(40.9)
10대 1,701(5.1) 1,489(4.1) 1,617(4.2)
20대 2,308(6.9) 2,319(6.4) 2,450(6.3)
30대 3,049(9.2) 4,240(11.7) 4,627(11.9)
40대 2,589(7.8) 3,864(10.7) 4,894(12.6)
50대 2,454(7.4) 3,644(10.1) 4,222(10.9)
60세 이상 4,426(13.4) 5,138(14.2) 5,117(13.2)
합계 33,214(100.0) 36,212(100.0) 38,765(100.0)
10세 미만의 어린이 사고를 원인별로 파악해보면 ‘추락’이 3,905건(24.7%), ‘미끄러져 넘어짐’이 3,286건(20.7%), ‘부딪힘’ 3,251건(20.5%), ‘눌리거나 끼임’ 1,230건(7.8%) 등이어서 추락, 미끄러져 넘어짐, 부딪힘으로 인한 사고가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킥보드 안전사고 급상승
최근에는 킥보드가 레저 및 교통수단으로 인기를 끌면서 이와 관련한 어린이 안전사고도 크게 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승용스포츠 제품 관련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는 모두 6,724건이었는데, 이 중 가장 사고가 많이 발생한 3개 품목이 자전거, 킥보드, 롤러스케이트였다. 특히 킥보드 관련 사고의 경우 2015년 184건에서 2019년 852건으로 4.6배나 증가했다.
킥보드와 자전거 같은 승용스포츠 제품을 이용할 때는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안전한 공터나 공원에서 타며, 내리막에서는 타지 않고, 주변 소리를 차단하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은 착용하지 않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지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12일, 세계일보 2020년 5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