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다운 상단이동
이전페이지 다음이지
서브비주얼
치매사회가 온다
치매는 어느덧 우리 국민에게 암 못지않게 두려운 질환이 되었다. 2024년이면 치매환자 100만 시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고령화 시대의 대표적인 사회 문제로 대두된 치매. 얼마나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인지 각종 통계자료를 통해 살펴보자.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이미지1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706만6,201명) 가운데 치매환자는 70만5,473명으로 추정되며, 치매유병률은 10.0%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이다. 또한 추정 치매환자 대비 의료기관에서 치매진단 및 치매진료를 받은 환자(치매상병자)의 비율은 93.7%였다.

앞으로도 치매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100만 명, 2039년 200만 명, 2050년에는 300만 명을 넘어설 만큼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치매환자 장래 추계
이미지2
국가치매관리비용, GDP의 약 0.8% 이미지3 치매로 인한 비용부담은 얼마나 될까. 치매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약 2,074만 원으로 추정되고, 국가치매관리비용은 약 14조6,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GDP의 약 0.8%에 달하는 상당한 금액이다. 65세 이상인 치매환자 전체의 연간 진료비는 약 2조3,000억 원, 1인당 연간 진료비는 약 344만 원으로 나타났다.
초로기 치매도 빠르게 증가 65세가 되기 전에 치매에 걸리는 초로기 치매 환자도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9년 1만7,772명에서 2018년 6만3,231명으로 10년간 4배나 증가했다. 여기에는 건강검진 활성화가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젊은 세대도 치매 위험에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미지4

고령화 시대의 가장 큰 화두이자 숙제이지만 아직 불치병으로 남아있는 치매. 가정과 사회가 겪는 고통과 경제적 손실이 큰 만큼 치매에 대해 정확히 알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출처: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JTBC 뉴스(2019.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