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전소니의 시대가 왔다. 청순한 외모와 안정적인 연기로 데뷔부터 주목받았던 전소니가 연상호 감독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기생수: 더 그레이>를 통해 날개를 달았다. 글로벌 팬들에게 확실한 눈도장을 찍은 전소니는 화제성에서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드라마, 사극, 멜로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었던 그는 이번 SF장르를 통해 배우로서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글 남혜연 사진 넷플릭스
오디오북 듣기
<기생수: 더 그레이>로
글로벌 팬들과 만난 전소니
글로벌 OTT 플랫폼 시청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기생수: 더 그레이>는 순위 집계가 시작된 후 이틀간 넷플릭스 TV 부문에서 글로벌 1위를 기록했다. 이번 작품이 더욱 주목받은건 영화 <부산행>과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과 <선산> 등을 연출한 연상호 감독의 신작이라서다. 전소니는 신비로운 마스크, 원작과 높은 싱크로율로 주인공 수인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냈다며 호평을 받았다.
<기생수: 더 그레이>는 인간을 숙주로 삼아 세력을 확장하려는 기생생물들이 등장하자 이를 저지하려는 전담팀 ‘더 그레이’의 작전이 시작되고, 이 가운데 기생생물과 공생하게 된 인간 수인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전소니 외에도 구교환, 이정현, 권해효, 김인권 등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해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했다.
“주변에서 재미있게 봤다는 이야기를 이번에 제일 많이 들었어요. 이런 연기 자체가 처음이라 어떻게 볼지 조마조마하고 궁금했는데, 제가 생각한 것보다 편하게 봐줘서 재미있다는 말이 기쁘고 반갑고 좋았어요. 또한 글로벌 공개작에도 처음 도전한 건데 해외에 사는 친구들에게 연락이 오고, 수치로 알 수 없는 반응을 알려주니까 너무 신기하고 정말 좋았어요.(웃음)”
이번 작품에서 전소니는 ‘수인’과 기생생물 ‘하이디’, 1인 2역을 맡았다. 일본 원작에선 기생생물이 주인공의 팔에 붙으면서 손가락으로 다소 귀엽게 보였다면, 연상호 감독은 얼굴을 절반으로 나누어 더욱 강렬하고 독보적인 기생생물을 탄생시켰다. 컴퓨터 그래픽의 도움을 받는다 해도 몸짓, 대사에 있어선 1인 2역을 확실히 수행해야 했기에 연기자 입장에서 고민스럽지 않을 수 없었다.
“배우들은 안 해본 캐릭터를 만나면 욕심이 나잖아요. 저는 이런 연기를 해본 적이 없었고, 제가 알고 있는 연상호 감독님은 자기만의 개성을 잘 보여주시는 감독님이니까 어떻게 저를 그려낼지 결과물이 궁금했죠. 기생생물을 연기할 수 있다는 것도 감사했고요. 또 저는 저와 캐릭터가 어느 정도 닮은 면이 있겠지만, 저와 얼마나 다른지에 집중하는 편이거든요. 저는 수인처럼 외롭지 않고, 삶의 의욕이 없지 않아서 어떤 부분이 나와 다를지를 생각하면서 연기했어요.”
한국에선 연상호 감독의 연출로 화제를 모았지만, 앞서 이 작품은 이와아키 히토시의 인기 만화를 원작으로 해 이미 독보적인 팬층이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원작과의 비교는 불가피한 일이었고, 전소니 역시 ‘부담’이라는 두 글자를 피해갈 수 없었다.
“원작을 재미있게 봤어요. 그래서 두 번이나 읽었죠. 애니메이션도 봤어요. 제가 할 작품의 원작이라서가 아니라 보자마자 재미있었거든요. 다 읽고 나서 남은 게 많았어요. 그래서 오래 사랑받는 명작이라는 생각이 들었죠. 어떤 기대든 100% 충족할 수는 없잖아요. 누군가의 기대를 만족시키고 싶다기보다 잘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컸어요. 그래서 새로운 이야기라는 게 반가웠죠. 모자람 없는 원작이라 다른 그림으로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우리가 만들어가는 우리의 색깔을 더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있어서 더 즐거웠고 연기하는 보람이 있었어요.”
작품의 반응이 좋은 만큼 시즌 2에 대한 기대감도 자연히 높아졌다. 전소니 역시 데뷔 이후 첫 SF물인 데다 원톱 주연작인 만큼 이 작품에 대해 갖는 애착이 남다를 텐데도 말을 아끼는 모습이 역력했다. 우선은 이 대작이 세상에 공개된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한 듯했다.
“<기생수: 더 그레이>에 100% 만족해요. 하이디와 정이 들었어요. 이 작품 아니면 이런 얼굴을 보여드릴 수 없었을 것 같아 기대가 됐는데, 만족스럽게 (결과가) 나왔어요. 이런 장르의 작품이 더 나오더라도 수인이와 하이디 같은 캐릭터는 없지 않을까 싶어요. 그것만으로도 저에게 특별하고 감사한 작품이죠. 잘되면 시즌 2가 제작될 거라고 했는데 현실이 될지 안 될지 저 역시 궁금해요. 스토리가 진행되려면 수인이가 그레이 팀과 붙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요. 이대로 시즌 2로 간다면 제가 가장 기대하는 건 마지막 회에 깜짝 등장한 원작 주인공 신이치와의 만남이죠.(웃음)”
배우 전소니의 또 다른 이름.
바니걸스 고재숙의 딸
전소니는 데뷔 초 어머니의 이름으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바로 연예인 2세이기 때문. 전소니의 어머니는 1980년대 원조 걸그룹 바니걸스의 멤버 고재숙이다. 바니걸스는 고(故) 고정숙, 고재숙 자매로 이뤄진 그룹으로 ‘70년대 원조 군통령’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귀여운 외모와 탄탄한 음악성 그리고 파격적인 패션을 선보인 쌍둥이 걸그룹이었다.
고재숙은 전소니가 본인 딸인 것이 알려진 당시 “두 딸을 혼자 열심히 키웠다. 딸을 나쁜 뜻으로 숨긴 건 아니다. 딸이 ‘누구의 딸’로 주목받는 걸 싫어한다. 스스로 꿈을 이루고 싶었던 것 같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전소니의 언니 전주니 역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둘은 자매 연예인으로 함께 화보 촬영을 하며 화제를 모았다.
“배우의 길을 걷게 된 데 부모님의 영향이 있었는지 생각해본 적이 있어요. 저는 첫걸음부터 지금까지 부모님이 저 대신 해주신 건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는데 한 선배님이 ‘그렇게 단정 지을 게 아니다’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저도 모르는 사이에 어떤 경험이나 생각이 엄마에게서 왔을 수 있다고요. 이젠 그렇게 생각하며 감사하게 여겨요.”
사실 전소니가 어머니에 대해 이야기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영화 <소울메이트>와 드라마 <청춘월담>으로 활동할 당시에도 “엄마가 이 업계 일을 안 했으면 좋겠다고 했었다”고 언급해 화제가 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때와 조금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어느덧 어머니가 배우 전소니로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키며 활동하는 딸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듯했다.
“저희 엄마는 방임형이셔서 제 인생에서 반대한 게 연예계 진출 하나밖에 없는 것 같아요. 그런데 결국 제가 이 일을 하고 있으니 지금은 잘해내기를 바라시죠. <기생수: 더 그레이>를 엄마가 보셨냐고요? 모니터링은 누구든 해줘야 하니까 엄마가 봐주기는 하실 거예요. 그런데 제가 가서 틀어드려야 보세요.(웃음)”
그동안의 작품에서 전소니는 남다른 패션 감각을 발휘했다. 키는 163cm이지만 얼굴이 작아 비율이 좋은 배우로도 불린다. 그에게 평소 몸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또 배우 활동을 지치지 않고 이어 나가게 하는 건강 관리법이 따로 있는지 물었다.
“<악질경찰>이라는 작품을 찍으면서 연기할 때 체력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체력이 있어야 뭔가 시도할 에너지가 생기고 집중하는 힘도 생기더라고요. 달리기를 잘한다거나 힘이 센 것보다도 지구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운동을 시작하게 됐죠.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도 도움이 되더라고요. 저는 필라테스를 오래 했어요. 『건강보험』 독자 여러분들도 평소 본인 몸에 맞는 운동으로 체력을 길러가시면 좋겠어요.”
2014년 단편영화 <사진>으로 데뷔한 전소니는 영화 <여자들>(2017), <죄 많은 소녀>(2018), <악질경찰>(2019), 드라마 <남자친구>(2018), <화양연화>(2020), <청춘월담>(2023), 그리고 이번 작품까지 쉴 틈 없이 달려왔다. 차기작 역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멜로무비>다. 전소니는 데뷔 이후 공백 없이 성실히 활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주인공으로 안착한 배우로 꼽힌다. 마지막으로 그에게 어떤 배우로 기억되고 싶은지 물었다.
“모든 것이 유한한 세상에서 누군가의 기억 속에 어떤 캐릭터로 살아남을 수 있다면 행복할 것 같아요. 이런 소망이 제가 배우가 된 이유이기도 하거든요. 또 전소니가 출연한다고 하면 ‘한번 봐볼까?’ 이런 생각이 들게 하는 배우로 성장하는 게 목표예요. 기억에 오래 남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