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머리가 쑤시듯 아프다면 편두통일 수 있다.
편두통은 가장 흔한 두통으로 약 10%의 인구가 편두통에 시달린다고 한다.
유전적 혹은 체질적으로 뇌세포가 예민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알려진 편두통의 증상과 예방법을 살펴보자.
오디오북 듣기
글 편집실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편두통
편두통은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하지만 보통 10대에 처음 발생하고 90% 이상의 환자가 40세 이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연령 이후에 발생하는 두통은 편두통이 아닐 수 있다. 편두통은 또 여성이 남성보다 3배가량 많으며 사춘기 이후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 체질, 여성호르몬 등이 원인
편두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갑작스러운 신체 내부 또는 외부 환경 변화와 뇌신경, 혈관계통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여 통증을 유발한다고 추정한다. 여성의 경우 월경 전후에 편두통이 많이 발생하는데 여성호르몬 수치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 외에 가족력도 관련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일반 두통과 다른 편두통
편두통은 일반 두통과 다른 점이 전구기, 조짐기, 두통기, 회복기 등의 전형적인 4단계로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모든 편두통 환자가 이런 단계를 거치는 것은 아니고 구성도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 두통과 확연히 구분되는 부분이다. 편두통이 생기기 전 신경이 예민해지는 시기를 전구기라고 하며, 시각 이상이 발생하는 조짐기, 4~72시간 동안 지속되는 두통기를 거쳐 근육 약화와 무력감, 피곤함을 느끼는 회복기로 나타난다.
정확한 진단이 중요
두통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므로 진료실을 찾기보다 환자 스스로 진단하고 두통약을 구입해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경우 약물의 오남용 위험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두통이 더 악화할 수 있다. 편두통은 심각한 합병증이나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단 점에서 안심해도 되지만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아 치료하는 것이 현명하다.
편두통을 예방하려면
한 달에 몇 차례 이상 편두통에 시달리면 삶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편두통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강한 소음, 강렬한 냄새, 번쩍이는 불빛, 스트레스, 식사 거르기와 일부 식품(치즈, 초콜릿, 알코올) 등이 있다. 대부분 뇌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므로 세심하게 살펴 피하는 것이 좋다.
편두통의 진단 기준
아래와 같은 두통발작을 5차례 이상 경험한 경우 편두통으로 진단한다.
- 4~72시간 지속되는 두통
- 다음 중 2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 한쪽 머리에 발생하는 통증
• 맥박이 뛰는 듯한 통증
• 중등도 또는 심한 통증
• 걷기, 계단 오르기와 같은 일상활동에 의해 두통이 악화되어 일상활동을 회피함
- 두통발작 시 다음 중 1가지를 동반하는 경우
• 메스꺼움이나 구토
• 빛 공포증, 소리 공포증
- 다른 기질적인 질환에 의한 증상이 아닌 편두통
- 전조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