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생명이 기지개를 켜고 따스한 햇볕을 즐기는 봄.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눈 관련 질병이 늘어가는 계절이기도 하다.
가렵고 눈부시고 건조한 증상을 호소하는 봄철 눈 질환, 미리 대비하고 예방하자.
오디오북 듣기
글 편집실 참고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외부 물질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발현
결막은 눈물의 점액층을 만들고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면역기능에 관여하며 미생물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하지만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수많은 물질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기 쉽다. 외부 물질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나타나는 결막염을 알레르기결막염이라고 한다.
대부분이 증상이 경미한 계절성
증상은 주로 눈이나 눈꺼풀의 가려움, 결막 충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이며 결막이 부풀어 오르거나 눈꺼풀이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끈적하고 투명한 분비물이 생기기도 한다. 공기 중의 꽃가루, 먼지, 동물의 비듬, 진드기 등이 항원으로 작용해 알레르기 반응으로 나타나는 계절성이 대부분이다.
자극성 결막염
봄만 되면 눈이 충혈되고 눈 속이 까끌거리기도 한다.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미세먼지나 황사 등 이물질이 눈 속에 들어가서 생기는 자극성 결막염일 수 있다. 가려움은 심하지 않지만 눈이 충혈되거나 눈물이 흐르고, 눈 속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느낌이 든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지만 오랜 시간 동안 증상이 지속되면 만성화될 위험이 높아지고 각막 손상의 위험이 따르므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겨울부터 지속되는 안구건조증
봄에도 여전히 대기가 건조하므로 안구건조증이 계속되는 경우가 흔하다. 눈에 이물감이 느껴지며 눈이 피로하고 충혈되기도 하며 시야가 뿌옇게 흐려진다. 건조한 실내에서 장시간 눈을 사용하는 경우나 바람이 많이 부는 곳, 햇빛이 강한 곳과 공기가 탁한 곳도 안구건조증을 심하게 만든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은 더 흔해졌다. 환기를 자주 하고 한 시간에 한 번은 눈을 쉬게 하며 공기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한다.
다래끼도 증가
눈꺼풀의 분비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다래끼라고 하는데, 봄이 되면 다래끼 발생도 증가한다.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미세먼지나 황사, 바람 등 세균에 감염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래끼는 그냥 두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지만, 증상완화를 위해 온찜질을 하거나 항생제 안약, 안연고 등의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 된다.
봄철 흔한 알레르기결막염 예방법
• 손을 수시로 깨끗이 씻는다.
•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한다.
•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한다.
외출 시에는 보안경을 착용한다.
• 먼지가 많은 계절에는 되도록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다.
• 눈을 비비면 증상이 더 심해지므로 냉찜질을 하거나 냉장 보관한 인공누액을 넣는다.
• 증상이 심하면 병원을 찾아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