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트래블

아름다운
여름 낭만을 찾아서
여수

여수 밤바다와 낭만포차, 동백, 오동도 등 여수 하면 아름다운 풍경과 낭만이 떠오른다. 섬과 바다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져 있어 모두 담기엔 하루가 부족하다. 일출부터 밤바다의 낭만까지 온종일 눈을 즐겁게 해주는 여수로 가보자.

  편집실 참고와 사진 여수시청

경이로운 절경을 품은 오동도

여수 오동도는 동백꽃으로 유명하다. 3천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만개하는 3월이면 섬 전체가 장관을 이룬다. 오동도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언덕의 자산공원과 향일암은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해 일 년 내내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오동도는 768m의 방파제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방파제 입구에서 동백열차를 타거나 걸어서 섬으로 들어갈 수 있다. 섬에 들어서면 방파제 끝에서 중앙광장으로 연결된 큰길 옆으로 오동도 정상으로 오르는 산책로가 있다. 미로처럼 조성된 2.5km의 산책로를 따라 펼쳐지는 해안가에는 병풍바위와 소라바위, 지붕바위, 코끼리바위 등 기암절벽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돌계단을 오르고 또 올라야 만나는 향일암

향일암은 여수에서 손꼽히는 일출 장소다. 돌산도의 끝자락에 자리한 향일암은 남해의 수평선에서 솟아오르는 해돋이 광경이 아름답다고 해 지어진 이름이다. 바다가 바로 보이는 주차장을 지나 거의 40도에 가깝게 경사진 돌계단을 오르고 또 오르면 온통 초록으로 하늘을 가리고 있는 나무 잎새들과 마주친다. 적당히 다리가 아플 즈음이 되면 향일암으로 오르는 석문(石門)이 앞을 가로막는다. 하늘을 향하여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여야만 지나갈 수 있는 석문은 고개를 숙일 줄 알아야 한다며 겸손함을 가르치는 듯하다. 손수건만 한 크기의 햇볕이 스며드는 해탈문 같은 첫 석문을 지나고 다시 돌계단을 오르면 그동안의 힘듦을 보상이라도 해주는 듯한 금오산과 돌산의 푸른 바다와 하늘을 만날 수 있다.

최남단 섬 거문도

거문도는 여수와 제주도 중간 지점에 있는 다도해의 최남단 섬이다. 거문도는 지형학적 위치로 인해 고대부터 동아시아 뱃길의 중심이었고 근대 서구 열강의 침입을 많이 받은 섬이기도 하다. 세 개의 섬이 병풍처럼 둘려 있고 1백만 평 정도의 천연 항만이 호수처럼 형성되어 있어 큰 배가 자유롭게 나드는 항구 구실을 한다. 거문도에는 19세기 말 당구장, 전깃불, 전화 등 육지에서도 구경하기 어려운 근대화의 물결이 상륙했으며 1905년엔 근대학교인 낙영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 동백터널과 등대가 이곳 거문도를 찾는 사람들의 인증샷 장소다.

여름 낭만의 정수 여수 밤바다

여수의 밤은 낮과는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 곳곳을 밝히는 화려한 조명이 여수 바다를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시키기 때문이다. 오동도 방파제에서는 야간 조명과 음악분수가 밤을 밝히고 여수해양공원에서는 돌산대교와 거북선대교, 장군도가 한눈에 들어오는 밤바다를 감상할 수 있다. 밤에 보는 돌산대교와 장군도는 빛의 도시 여수를 가장 잘 표현한 광경이다. 50여 가지의 불빛이 여수 밤바다에 특별함을 더하며 이국적인 정취를 느끼게 해준다. 오동도 동방파제와 바다 건너편으로 보이는 박람회장까지 이어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여수만의 야경을 만들어낸다.

세계 최고(最高) 콘크리트 주탑 이순신대교

이순신대교는 이순신 장군의 탄신해인 1545년을 기념하기 위해 주탑 간 거리를 1,545m로 만들었다. 주탑과 주탑 사이의 길이는 일본의 아카시대교, 중국 시호우먼교, 덴마크 그레이트벨트교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길며 국내 최장을 자랑한다. 또 주탑의 높이는 서울 남산(262m), 63빌딩(249m)보다 높은 해발 270m로, 콘크리트 주탑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높다.

이순신대교는 여수로 오는 주요 교통의 요충지로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를 이용해 오는 경우, 또 경북, 경남 등지에서 오는 경우에 20분 정도의 시간을 단축해준다. 이순신대교의 전망대는 거북선을 형상화해 새롭게 나아가는 충무공 이순신의 정신을 건물에 반영했고, 장애인과 노약자, 어린이 이용객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을 고려했으며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