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식 노트

쨍쨍한 햇빛과
높은 기온 조심!
덥고 따가운 여름 질병

짧은 소매에 반바지 또는 수영복을 입고 바닷가에서 한참을 놀고나면 살이 빨개지고 따끔거리는 경우가 있다. 또 기온이 높은 낮에 장시간 외부 활동을 하면 탈진하기도 하고 심하면 의식을 잃기도 한다. 고온과 따가운 햇빛으로 생길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알아보자.

  편집실 참고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

피부 노출이 많은 여름, 강한 자외선에 의해 일광화상이 생길 수 있다. 오랜 시간 햇빛을 받은 피부가 빨개지고 붓거나 물집이 생기는 것이 바로 일광화상이다. 열이 나고 화끈거리는 통증이 심해지면 두통과 함께 열이 나는 전신증상으로 번지기도 한다. 햇빛에 노출된 지 4~6시간이 지나면 피부가 빨갛게 되면서 통증이 생기기 시작하고 24시간이 지나면 절정에 이른다. 이후로도 계속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세포가 멜라닌색소를 만들어 검게 그을려 보인다.

진단과 치료방법

피부가 빨갛게 되고 약간의 통증만 있는 경우는 1도 화상으로 진단하며, 열이 오른 피부를 식혀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시원한 실내에서 몸을 식힌 다음 보습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고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복용한다. 물집이 생긴 경우는 표재성 2도 화상으로, 물집을 일부러 터트리면 세균감염이 될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해 소독된 바늘로 살짝 터트려 진물을 빼고 연고를 바른다.

일광화상 예방법

하루 중 오전 11시~오후 1시 사이는 햇빛이 가장 강하므로 야외 활동을 자제한다. 외출을 해야 한다면 30분 전에 SPF(자외선차단지수) 15 이상인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물에 젖거나 땀을 흘렸을 경우에는 다시 바른다. 또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 등을 이용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최대한 보호한다.

빠른 대처가 필요한 열사병

열사병은 덥고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 작업이나 운동을 해 열 발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40도 이상 오르고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한 증상이 특징이다. 어지러움, 구역질, 의식혼탁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중추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체온을 빠르게 낮추는 것이 중요하므로 고온의 환경에서 빨리 벗어나 옷을 벗기고 젖은 수건등으로 몸을 감싼 다음 찬물을 끼얹어 열을 식히는 응급조치가 필요하다. 의식저하가 동반될 경우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열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그늘에서 자주 휴식을 취하면서 충분히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는 일사병

일사병은 고온의 환경에서 전해질과 수분이 소실돼 전신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열사병과는 달리 땀을 많이 흘리고 얼굴이 창백해지며 구역, 구토, 두통, 어지럼증 등이 동반된다. 체온이 많이 올라가지 않는 것도 열사병과 다른 점이다. 의식이 뚜렷하고 구역이나 구토감이 없는 경우에는 시원한 장소로 이동해 염분이 들어 있는 차가운 음료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수분 보충이나 안정에도 회복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일사병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야외 활동
이것만은 꼭! 지키자

오전 11시~오후 1시 사이에는 야외활동 자제

외출하기 30분 전 자외선차단제 꼼꼼하게 바르기

모자, 양산, 긴소매 옷 등을 이용해
햇빛으로부터 피부 보호하기

고온의 환경에서 작업이나 운동을 해야 한다면
서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전해질 음료를
틈틈이 마시기

열사병 증상이 나타나면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