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요약

소중한 눈, 지키는 방법

  박지영
감수 최문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교수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표현처럼 사람의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하는 신체 부위 중 하나다. 눈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다’는 속담도 있다. 소중한 눈은 한번 나빠지면 회복이 어려우므로 어릴 때부터 평생 잘 관리해줘야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초·중·고 교실을 살펴보면 안경을 쓴 학생이 더 눈에 띄는 것이 요즘 현실이다. 10대 초반에 고도 근시를 진단받는 경우도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근시 진료를 받은 국내 환자의 연령별 통계를 보면 10대가 46만 1,231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10세 미만이 29만 5,766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아이들에게서 근시는 만 6세에서 10세 사이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근시는 세계에서 많은 인구가 겪는 대표적인 안과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 매년 120만 명 내외 인원이 근시 때문에 의료 기관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이 많은 현대인은 눈 건강에 특별히 신경 써야 한다. 요즘처럼 건조한 날씨도 한몫해 안구건조증, 결막염 등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노화현상이 나타난다. 눈도 예외는 아니다. 노안, 눈꺼풀 처짐, 녹내장, 황반변성, 백내장 등은 중장년과 노년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 안질환이다.

침침함, 뻑뻑함, 피로감 등 눈에 일어나는 작은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눈 건강을 세심하게,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한다. 연령대별 안질환과 소중한 눈 건강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