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유용하게, 더 편리하게
건강iN 사이트 개편 오픈
이번 건강iN 사이트 개편의 골자는 두 가지다. 첫 번째는 건강 정보를 이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로 개선해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두 번째는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확대 및 개선해 특색 있고 차별화된 콘텐츠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대적으로 사이트 개편을 단행했는데 주니어건강iN 홈페이지의 콘텐츠를 건강iN 내로 통합하는 등 이용자 사용 빈도 및 관련 업무 단위로 메뉴를 통합 재분류하고, 검진기관 및 병원 안내 등 요양기관 통합검색 기능의 개선과 필요한 검색 조건을 모두 노출시켜 한번에 통합 검색(개편 전에는 불임치료기관, 검진기관, 병의원 찾기 등 목적 별로 따로 검색)이 가능해졌다.
또 ‘이상반응 주의의약품’, ‘오남용 우려의약품’, ‘의약품과 상호작용’, ‘생애주기별 의약품 사용정보’ 등 의약품 관련 콘텐츠·게시판을 추가해 일상에 필요한 의약품 정보를 좀더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중 개인 정보가 없는 일반 건강정보는 SNS로 퍼갈 수 있도록 링크 생성 기능도 추가했다.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부문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건강iN 사이트 내 ‘나의 건강정보(My Health Bank)’에서 제공 중인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해 각각 이용해야 했던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고, 뇌졸중 위험도 예측 프로그램, 건강 나이 알아보기, 대사증후군 맞춤정보의 서비스를 통합해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단일화 하였다.
더불어 기존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인별 건강·질병 위험예측 프로그램 질환을 확대했다. 기존에는 뇌졸중 위험도 예측만 제공했으나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위험도(50세 이상), 심장질환 위험도 예측 서비스가 추가되어 나에게 딱 맞는 건강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 ‘뇌졸중 위험예측 프로그램’은 공단의 최신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타당도 평가 후 업데이트를 완료했다.
가장 외형적인 변화로는 수요도가 높은 건강검진을 중심으로 한 주요 서비스를 상단에 배치해 서비스 검색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이용자들이 직접 사이트 개편에 참여한 국민디자인과제의 ‘건강수첩’ 콘셉트를 이용하여 ① 건강검진 안내 ② 나의 건강관리(My Health Bank) ③ 건강생활 및 건강정보라는 서비스 흐름으로 구성했다.
또한 로그인 과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반적인 조회서비스(검진대상자조회, 검진결과조회, 문진표작성 등)는 공인인증서 로그인만으로도 가능하며, 맞춤형서비스는 별도의 ID, PW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2016년을 맞아 새 모습, 새 기능으로 단장한 건강iN, 앞으로도 국민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국민과 한 뼘 더 가까워질 건강iN의 기분 좋은 변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