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임신성 당뇨병 바로 보기

임신성 당뇨병은 혈액 중의 포도당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로서, 임신 중 당뇨병이 처음 발견되거나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대개 출산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질환이 심각해지는 경우 난산이나 임신 중독증, 신생아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산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임신성 당뇨병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했는데,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빅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임신 중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003년 1만 9,799명에서 2012년 11만 5,646명으로 5.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도에 첫 아이를 출산한 여성 중 과거 2년 동안 공단의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5만 3,331명을 대상으로 한 출산 후 당뇨병의 진행 여부 추적에서는 임신 전 비만이며,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 출산 후 8년 이내 당뇨병 발생 위험이 일반(정상 체중이고, 임신성 당뇨병이 없는) 여성에 비해 8.0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임신 전 비만이며, 임신성 당뇨병이 없는 경우에 출산 후 8년 이내 당뇨병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의 여성보다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신 전 비만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일 경우, 출산 후 당뇨병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으므로 비만에 대한 산전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임신 전 비만 및 임신 중 임신성 당뇨병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출산 여성 중 임신 중에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003년 1만 9,799명에서 2012년 11만 5,646명으로 5.8배 늘었고, 이는 2003년 4.8%에서 2012년 25.4%로 증가한 수치다

이는 산전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 주는 결과로써, 임신 전 비만한 여성은 임신 시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산전 비만관리가 꼭 필요하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지난 6월 ‘임신성 당뇨병 관리의 현주소 및 개선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했다. 세미나는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고위험 임산부가 증가하면서 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는 등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국가적 지원과 관리체계 마련을 위하여 국내 최고 권위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앞으로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공단의 세미나는 물론 다양한 예방 사업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으로 인한 건강 위험 요인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엄마와 아기의 건강한 삶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예방사업을 펼쳐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