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로 여행을 간다면 해당 지역의 위생 상태, 기후, 고도, 의료시설 접근성 등을 미리 파악해야 한다. 특히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오지를 간다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여행지에서 유행하는 질병이나 풍토병은 무엇인지 미리 확인하고 필요하면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 접속하면 해외 국가별 감염병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방접종은 출국하기 최소 2주 전에 해야 한다. 황열과 콜레라 예방 백신은 국제공인 예방접종 지정기관에서, 그 외 백신(A형간염, 장티푸스, 폴리오 등)은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접종이 가능하다. 말라리아는 유행 지역 방문 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상담한 뒤 접종이 아닌 예방약을 처방받아야 한다. 
					해열제, 지사제 및 진경제(지사제의 임의 복용은 장염을 악화시킬 수 있음), 소독약 등 상비약품과 함께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기피제와 긴 옷을 챙긴다. 평소 앓고 있는 질환이 있다면 영문으로 된 처방전을 발급받아 가지고 가도록 한다. 해외에 나가면 물갈이로 인해 설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사제를 함부로 쓰지 말고 이틀 정도는 설사가 나오게 두는 것이 좋다. 억지로 설사를 막으면 독소가 못 빠져나와 패혈증에 걸릴 수 있다.
					
					감염병은 대부분 잠복기를 가진다. 귀국하고 2주일 동안은 열, 설사, 구토, 황달, 요로기계 장애, 피부발진 등이 나타나진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여행기간 중 감염성 질환에 심각하게 노출될 만한 가능성이 있었거나 개발도상국에서 오래 머무른 경우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