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정보 포털을 이용하실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크롬(Chrome), 사파리(Safari) 또는 최신 버전의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비급여 정보 포털은 아래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1. 대표 홈페이지를 통한 접속
「국민건강보험」 대표 누리집(www.nhis.or.kr) → [건강모아] → [비급여 정보 포털]
2. 모바일앱을 통한 접속
「The 건강보험」(모바일 앱) → [건강모아] → [비급여 정보 포털]
3. 포털 직접 접속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비급여 정보 포털 url (https://www.nhis.or.kr/nbinfo/index.do) 입력하여 바로 접속
더욱 편리한 접속을 원하신다면 자료실 > 공지사항 > 스마트폰 바로가기(홈화면) 안내에 따라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개별 항목에 가격이 표시되지 않더라도, 일부 항목의 경우 분류 단위(예: 치료재료, 예방접종 등) 또는 주성분 단위(예: 의약품 등)로 묶어 산출한 통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급여 정보 포털에 의료기관별 가격정보는 없으며, 의료기관별 비급여 항목에 대한 가격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비급여 정보 포털에서 공개하는 항목은 비급여 보고제도 및 진료비용 공개제도를 통해 수집된 항목 중 1,064개 항목입니다. 매년 보고제도의 항목 확대를 통해 제공 정보를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지도상에는 인구수를 기준으로 상위 10개 시군구만 기본적으로 노출하고 있습니다.
지도에 노출되지 않은 시군구의 가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가격이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니, 필요한 지역 위에 마우스를 올려 확인해 주세요.
아닙니다. (-)로 표시된 경우, 2024년 3월에 의료기관에서 해당 비급여 진료가 없었음을 의미합니다. 향후, 보고기간에 의료기관에서 해당 항목을 보고할 경우 가격이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비급여 보고제도* 및 진료비용 공개제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품질검증 및 현황분석 등을 통해 만들어진 자료입니다.
※ 비급여 보고제도란? 전체 의료기관의 비급여 보고 의무화 시행으로(의료법 제45조의2 개정) 병원급은 연2회(3월,9월), 의원급은 연1회(3월) 항목, 금액, 진료내역 등을 공단에 제출하는 제도입니다. 보고항목은 2023년 594개, 2024년 1,068개, 2025년 1,251개입니다.
비급여 항목에 대한 설명 및 가격정보, 안전성·효과성 평가 정보, 질환별 건강 정보, 수술별 진료 정보 등을 공개합니다.
현재 비급여 항목 1064개, 비급여 항목과 연계된 질환정보 91개, 비급여 비중이 큰 수술 정보 12개, 비급여 항목에 대한 안전성·효과성 평가 정보 54개를 공개하고 있으며, 매년 보고제도의 항목 확대를 통해 제공 정보를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에서는 의료기술재평가를 통해 의료현장에서 사용 중인 의료기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근거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비급여 진료를 받으시는 경우 비급여 정보 포털의 '알고 받는 비급여' 및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의료기술재평가' 결과를 통해 일부 항목의 안전성·효과성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