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시술인가요?
척추성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감소를 위해 수행되는 기술로 경피적으로 신경성형술용 카테터를 경막외강으로 진입시켜 경막외강 병변부위의 유착을 박리하고 약물을 투여하는 시술입니다.
어떤 증상일 때 받는 시술인가요?
척추성 통증(만성요통, 다리통증 및 경추통증)의 증상이 있을 때 받는 시술입니다.
- 만성요통
- 12주 이상 지속되는 요통
- 경추통증
- 목 부위 통증
어떻게 진행되는 시술인가요?
천자할 부위를 무균 준비합니다.
적절한 바늘을 선택하여 평행을 유지하면서 바늘을 삽입하고 극간인대 안에 팁이 확실히 자리 잡을 때까지 경막외강으로 삽입합니다.
약물 주입을 위해 카테터에 커넥터를 부착하고 경막외강에 카테터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흡인합니다.
통증을 일으키는 조직을 찾아낸 뒤 고농도(10%) 식염수를 주사하여 통증 유착부위를 떼어 낸 후,
스테로이드와 국소마취제를 혼합해 만든 치료액을 주사합니다.
시술과정이 모두 끝나면 피부 근처의 카테터를 잡고 동일한 힘을 주면서 천천히 빼냅니다.
안전성·효과성 평가 결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의료기술재평가 권고등급 체계
권고등급 체계 마련 이전 평가건이거나 평가방법 및 목적에 따라 권고등급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음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척추성 통증 환자에서 통증감소를 위해 수행하는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조건부 권고함”으로 심의하였습니다.
권고함 | 조건부 권고함 | 권고하지 않음 | 불충분 | 권고등급 없음 |
---|---|---|---|---|
O |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가 충분하고,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대부분의 국내 임상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권고함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및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임상 상황이나 가치에 따라 평가대상의 임상적 유용성이 달라질 수 있어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조건하 혹은 제한적으로 권고함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및 그 외 평가항목을 고려하였을 때 대부분의 국내 임상 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을 권고하지 않음 |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 등에 대해 판단할 임상 연구가 부족하여 국내 임상 상황에서 해당 의료기술의 사용에 대한 권고등급을 결정할 수 없음 | 권고등급 체계 마련 이전 평가건이거나 평가방법 및 목적에 따라 권고등급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음 |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인가요?
안전성 측면에서 상당한 주의와 감독하에 수행할 필요가 있는 기술이고, 특히 경추 통증 환자에서 수행할 경우 해부학적 위치 및 시술 난이도가 있어 더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한 시술로 판단하였습니다.
통증관리를 위한 기존의 보존적 치료와 경막외강 신경차단술을 비교시 통증 및 기능개선에서 일관되게 효과가 있어 효과적인 기술로 판단하였습니다. 다만, 앞으로도 경막외강 신경차단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질환별 유사한 다른 시술에는 무엇이 있나요?
비수술적 치료 : 급성 요통환자는 치료와 상관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호전되므로 비약물 치료, 표면열치료, 마사지 등을 추천하며 만일 약물치료가 필요할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이나 근골격계 이완제 약물이 쓰입니다.
경막외 주사치료 : 신경근성 통증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임상적 효과가 있으므로 권고할 수 있습니다.
- 참고사이트 및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https://www.neca.re.kr)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