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각막과 수정체를 지나면서 적절하게 굴절되지 않아 망막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어떤 질환인가요?
사물을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적절하게 굴절되어 망막의 중심오목에 하나의 초점으로 맺혀야 하는데, 이러한 굴절과정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굴절이상이 생기면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관찰할 수 없고 시력이 저하되었다고 느끼게 됩니다.
특히 시력이 발달하는 유아기나 아동기 때에 심한 굴절이상을 발견하지 못해 치료가 늦어지면 약시나 사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굴절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굴절이상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있습니다.
- 근시
-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는 굴절이상으로 먼 곳은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눈을 말하며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겪게 되는 눈의 굴절이상입니다. 일부 유전적 소인과 근거리 작업, 과인슐린혈증 같은 영양적 요인 등이 복합 되어 발생한다고 추측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근거리에서 독서, TV 시청, 컴퓨터 게임 등에 열중하게 되면서 근시가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원시
- 물체의 상이 맺히는 부위가 망막보다 뒤쪽일 때 나타나는 굴절이상입니다.
- 난시
- 눈으로 들어온 빛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고 2개 이상의 초점을 갖게 되는 굴절이상으로 주로 각막이나 수정체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생겨서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은 무엇인가요?
굴절이상(근시, 원시, 난시)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시
- 일부 유전적 소인과 근거리 작업, 과인슐린혈증 같은 영양적 요인 등이 복합 되어 발생한다고 추측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근거리에서 독서, TV 시청, 컴퓨터 게임 등에 열중하게 되면서 근시가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원시
- 출생 직후의 영아는 대부분 약한 원시를 가지고 있다가 정상적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문제가 나타나 원시가 남아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 난시
- 발생원인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있어서 부모에게 난시가 있으면 자녀에게도 난시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검하수나 덧눈꺼풀 같이 눈꺼풀이 눈을 누르거나 눈썹이 닿는 경우, 각막에 질환을 앓거나 수술을 받은 후,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각막이나 수정체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난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공통적으로 사물이 선명하지 않게 보이게 되며 굴절이상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근시
- 멀리 있는 사물을 볼 때 눈을 찡그리고 보거나 고개를 돌려서 보고, 자주 두통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 원시
- 근시와 다르게 원시의 경우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원시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고, 원시가 심해지면 가까운 곳을 잘보기 위한 과도한 조절로 피로를 느끼게 되어 시력감퇴, 눈의 통증 또는 두통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 난시
- 먼 곳, 가까운 곳이 모두 선명하게 보이지 않으며 난시가 심한 경우 조절현상에 의하여 눈이 피로해지게 되는데 심하면 두통까지 동반하게 됩니다. 눈을 찡그려서 보면 조금 더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난시가 있는 경우 눈을 찡그리는 버릇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떻게 진단하나요?
눈의 굴절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굴절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굴절검사에는 타각적 굴절검사, 자각적 굴절검사, 조절마비 굴절검사가 있습니다.
- 타각적 굴절검사
- 의사가 망막검영기를 통해 환자의 눈을 직접 관찰하여 굴절이상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 자각적 굴절검사
- 환자의 반응에 의존하여 굴절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한 후 정확한 안경처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조절마비 굴절검사
- 어린이들과 일부 성인에서는 조절기능(망막 뒤에 있는 초점을 앞으로 당기는 기능)을 통해 굴절이상의 정도나 유무가 변하는 경우가 있어 이런 경우 조절을 마비시키는 안약을 점안하고 굴절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치료 방법은 의사와 상담하여 각 개인의 상황과 증상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착용, 굴절교정수술을 통한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안경 착용
- 일차적으로 굴절이상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근시에서는 정상시력으로 교정되는 오목렌즈를, 원시에서는 볼록렌즈를 처방하며 난시 교정을 위해서는 원주렌즈(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빛이 굴절되는 정도가 다른 렌즈)를 처방하게 됩니다.
콘택트렌즈 착용
- 콘택트렌즈 착용을 통해 굴절이상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교정합니다. 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철저한 숙지가 필요하고 렌즈에 의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안과에서 렌즈 착용에 적합한 눈인지 검사를 받고 렌즈를 처방받아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굴절교정수술(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
-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라식)과 레이저각막상피절삭성형술(라섹)은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의 만곡도를 변화시켜 굴절이상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은 본인의 수정체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자신의 굴절이상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여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관련 비급여 항목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관련 항목 | 상세 |
---|---|
[2Z9610001] 시력 교정술료_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라식) | 상세 |
[2Z9620001] 시력 교정술료_레이저각막상피절삭성형술(라섹) | 상세 |
[4Z04401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CONTEX OK™ | 상세 |
[4Z04402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Euclid Systems Orthokeratology (oprifocon A) Contact Lens For Overnight Wear | 상세 |
[4Z0440301]보장구_굴절교정렌즈-Ortho-K LK®-Lens | 상세 |
[4Z0440302] 보장구_굴절교정렌즈-Ortho-K LK®-Lens PREMIER | 상세 |
[4Z0440303] 보장구_굴절교정렌즈-Ortho-K LK-Lens Toric PREMIER | 상세 |
[4Z04404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Paragon CRT 100 | 상세 |
[4Z0440402] 보장구_굴절교정렌즈-Paragon CRT 100 Dual Axis | 상세 |
[4Z04405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FARGO 100 | 상세 |
[4Z04406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α Ortho-K | 상세 |
[4Z04407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White OK | 상세 |
[4Z04408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Vision | 상세 |
[4Z0440901] 보장구_굴절교정렌즈-myOK | 상세 |
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